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집단과 정상 성인 집단을 대상으로 단어빈도, 단어길이, 생물성의 세 가지 어휘조건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15명과 정상 성인 15명이었다. 이름대기 과제의 목표 단어는그림으로 표현 가능한 구체명사만 사용하였으며, 이름대기 평가는 그림을 이용한 대면이름대기방법을 사용하였다. 목표 단어는 단어빈도(저빈도어/고빈도어), 단어길이(1음절/3음절), 생물성(생물/무생물)의 어휘조건을 적용하여 총 4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고빈도 단어의 이름대기 수행이 저빈도 단어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 모두 1음절 단어의 이름대기 수행이 3음절 단어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 모두생물성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집단과 어휘조건의 상호작용 효과는 단어빈도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들의 어휘조건에 따른 이름대기 능력의 저하는 단어길이나 생물성에 비해 단어빈도의 효과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연구결과는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평가와 중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ree conditions-words frequency, word length, and animacy-on the performance of naming in nonfluent aphasic patients. 15 nonfluent aphasic patients and 15 normal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words consist only of concrete nouns and confrontational naming test was used. The test consisted of 40 questions and the condition of word were frequency(low-frequency/high-frequency), length(1 syllable/3 syllables) and animacy(animate/inanimat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naming was performed better with high-frequency words than with low-frequency words in both groups. Second, naming was performed better with 1 syllable words than with 3 syllable words in both groups. Third, naming performance depending on anima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to animacy of word, word frequency and length have bigger influence on the naming, and the difference by word frequency was more pronounced for nonfluent aphasic patients than for normal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arget word for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nonfluent aphasic patients, words frequency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clinical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