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대처자원과 돌봄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실천적 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만18세 이상에 속한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고 있는 주돌봄자인 어머니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돌봄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은 50세 ~ 54세 집단이 연령이 낮은 49세이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구 소득은 200만원 이하 집단이 550만원 이상집단보다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취업 중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돌봄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대처자원 중 사회적 대처자원인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어머니의 돌봄스트레스를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주 돌봄자의 돌봄을 완화를 위해 정부정책 중 장애인활동지원제도와의 연계를 통한 돌봄부담의 경감과 어머니의 연령, 경제수준, 취업여부 등 개별적인 특성에 입각한 돌봄지원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고 가족 내⋅외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한 어머니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망 구축 및 동일한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과의 자조모임 등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affecting mother' coping resources on caring stress of mothers caring fo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ervice users recruited from two disability organizations and the disabled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outh Korea. The survey was limited to mothers caring fo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18. The samples of the study consisted of 119 mothers.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It was used for the analysis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Step 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of social coping resources is affecting in caring stress of mothers. Also, the mothers who is working are more caring stress than unemployed mothers and the mothers who is between 50age and 54age are more caring stress than the mothers of under 49 age. Based on these results, I proposed the idea of several programs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community welfare centers based on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