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스트레스 모델을 근거로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대처기제와 장애수용태도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D시와 K지역에 위치한 요양시설과 재가시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요양등급판정을 받은 36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61명의 자료가 SPSS 19.0와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분석결과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는 삶의 만족도와 대처기제, 장애수용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는 대처기제와 장애수용태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며, 대처기제는 장애수용태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스트레스 모델이 노인의 일상생활수행의 장애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모델임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근거로 일상생활수행상의 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disability, coping strategy,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based on stress model. For the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61 elderly who reside in D and K provinces benefitted by long-term care insura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utiliz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functional dis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an indirect impact through coping strategy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among the elderly. In addition, coping strategy a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an indirect impact through acceptance of disability. Then, acceptance of disability also were statistically a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the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stress model was useful tool in explaining life satisfaction among functionally disabled elder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possible practice implications for the functionally disabled elderly and recommendation for further study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