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주거공간에서의 무장애와 정주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기준의 비교분석과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무장애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독일, 영국, 미국, 일본, 한국의 무장애 주택관련 기준을 분석하여 무장애 수준(BF)과 휠체어 이용가능 수준(BF-W)으로 구분된 무장애 주택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도급순위 상위 5개 건설사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을 살펴보았고, 도출된 기준대비 국내 아파트의 BF수준은 50%내외, BF-W수준은 30%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내 작동설비, 위생설비, 벽체의 구조적 성능 등을 개선 한다면, 더 높은 적합률을 보일 것으로 보여, 도출된 BF수준의 기준은 일반 주택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간규모 확대가 필요한 BF-W수준의 기준은 일정 비율의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주택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주거 유형의 수준도 함께 검토하여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준 개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cent research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barrier free and aging in the place in the housing space. Thus, the present study looked at alternative ways to improve the planning criteria and the relevant system. To do this, the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by comparing criteria used in domestic as well as foreign areas and by analyzing the circumstance of barrier free in apartments given.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the criteria which distinguish the levels of the barrier free and the accessibility of wheelchairs, through the analysis of barrier free housing criteria used in Germany, UK, USA, Japan, and Korea. Based on this, this study reviewed all circumstance of barrier free in apartments. The results showed the appropriate rates less than 30% of BF-W and 50% of BF. It seems possible that suggested standard of BF can be applicable to housing and the standard of BF-W is applicable to housing for the wheel-chaired people, if the improvement within apartments occurs. Through review various housing-type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for the general standard, which is possibly applic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