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공의 장소와 공공의 목적을 지닌 텍스트 속에서 시스템화 되어 있는 사인은 실용적으로는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 단위로써 각종 안내나 그 지시적 성격, 그리고 상징적 성격을 나타난다. 이 성격에 따라 지하철, 공항의 사인도 특정한 사물의 위치나 길을 미리 알게(징조, 전조) 해주는 역할을 한다. 시각우선순위가 부재한 기존 공항사인에 대하여 시각적 우선순위와 색채, 조명, 위치 등의 요소를 제시하는 대안에 대한 실험연구이며, 연구 결과 제시된 샘플이 기존 공항안내사인보다 고령자와 일반인 모두 길 찾기를 하는데 쉽고 이용이 편리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공항이용자 중 일반인과 비일반인으로 간주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안내사인의 적합성, 가독성, 만족도 평가를 분리해서 진행했으며, 비일반인에게 좋은 평가를 얻은 제안샘플이 일반인에게도 적합한 디자인인가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모든 이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빠르고 쉽고 편하게 찾을 수 있다면 정보 소외 계층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이용자들도 평등하게 공공안내사인을 통하여 시각적 격차의 문제 해결로 공공장소의 이용을 활성화 시켜 고령자에게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시각우선순위, 색채, 조명, 위치에 대해서 제시한 “제안샘플”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큰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공공사인은 장애인, 노인, 여성, 어린이, 저학력층 등의 모든 사용자들을 위한 것이므로 시각정보 교육을 받지 못한 고령자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추후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결과를 검증해야 할 것 이다. 둘째, 고령자는 물론 일반인들도 색상의 대비가 클수록 길 찾기를 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셋째, 조명과 시각도에 따른 위치가 길 찾기를 하는데 많은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the environment of our society has been made for average users, it was somewhat exclusive for whom 'out of average.' As irrationalities of such equipment rear up recently, extra or exclusive equipment and further devices are added to current facilities, but in practice its quality is lower than it was initially planned, because of additional co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ubstitute such as visual priority, color, lightening, and location of current airport signals with no visual priority, and to prove the fact that presented sample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easy and convenient for both of the aged and normal people, than current airport signals. Targets of the experiment were normal airport users, the abnormal and the aged, while research items were property, readability, and degree of satisfaction. This is to prove whether the presentation sample highly rated by the abnormal is also proper to the normal. If this study allows efficient, prompt and easy information for every users, intelligence-alienated class such as the aged who with low-eyesight would be able to equally use the public directional signals to get information, which leads to solve the problem of vidual difference to activate use of public places, and to present various possibilities to the aged. As a result of experiment, pictogram-priority design was highly ranked among visual-priority applied samples, by the aged. Mean- while for colors, the one with highly contrasted colors was the most highly ranked among the aged. For lightening, the sample in lightness order of ceiling, floor, and wall was highly ranked in both of eye-catching and property. The experiment proved that Hanging Type and Pole Post Type are not convenient to look out users' destination since those do not consider the eyesight ang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