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전지구화 시대 유목적 삶을 살아가는 제3세계 여성들의역량강화를 살펴본다. 제3세계 여성들이 새로운 장소에서 생존하고 좋은 삶을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주제들, 즉 권력, 주체 그리고 공동체를 젠더라는 분석틀을 가지고 논의한다. 푸코의 권력 분석 이후에 권력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나는 여성의 역량강화를 위해서 푸코 이전의 권력 분석이 여전히 유효한 것임을 주장한다. 자원의 통제 능력, 의제의 장악 등은 젠더화되어 있고 인종 차별적인 사회에서 여전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권력의 균등을 위해서도 제3세계 여성 주체 개념이 요구되는데, 육체페미니즘으로 돌아 선 포스트구조주의적 여성주의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상호 연결과 관계 속에서 요청되는 권리와 자율성의 의미를 주목한다. 그렇지만 나는더 나아가 주체는 공동체와 불가분적인 것임을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주체는공동체 속에서 자신의 삶의 의미와 지표를 발견하고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공동체는 어떤 의미에서는 정형화된 것이 아닌 주체들이 어떻게만들어 나가는 것이냐에 따라 그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나는 모한티의 상호성, 신뢰성, 공통의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연대를차용하면서, 다양하고 다층적인 위치에 있는 제3세계 여성들의 연대의 가능성을위해 우정의 덕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In this essay, I consider the empowerment of the third world women to live nomadic life in a global world. Because they have to survive and live good life in a new area, I think it needs the three subjects, that is to say, power, subject and community with a framework of the gender. Discussing the analysis of the power of Fouccault, I argue the importance of the control of resources and agenda. And I insist on being a indivisible entities of subject and community. Moreover, adopting Mohanty’s solidarity based on mutuality and reliability and interests, I focus on the virtue of friendship in order to encourage the solidarity of the third world women. Friendship is not a brotherly ties, but a friendship among women to encourage moral growth and social transformation.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

globalism, the third world women, empowerment, power,subject, community, solidarity, friendship, relationship, poststructuralism feminism, nomadic life, diaspora, Braidotti,Grosz, Friedman, Hoagland, Mohan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