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필자는 이 논문에서 우선 신자유주의적 경쟁이 극단화되고 위계적 젠더 이분법이 허물어지는 지금 여기의 도시적인 삶에서 가장 자주 표출되는 감정 중 하나가 여성혐오임을 밝히고, 여성을 혐오하는 자들은 여성을 남성주체의 경계를 위협하는 비체로 전제하기에 여성들을 배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젠더관계에 대한 공정한 인식 또한 할 수 없게 됨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필자는 정의로운 젠더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어떤 도덕적 감정이 요구되는가를 논의하는 가운데 수치심, 동정심, 동감과 같은 도덕 감정 역시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수치심은 통제할 수 없는 대상에 대한 파괴의 욕망을 내재하고 있으며, 동정심은 대상에 대한 자신의 우월성에 기반하며, 동감은 자아와 타자 간의 동일성에 기반하기에 타자의 차이를 제대로 볼 수 없게 만드는 위험을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정의로운 젠더관계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캐롤 길리건이 말하는 공감의 감정구조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공감은 자아와 타자의 상호의존성과 참여 그리고 상호감응성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타자의 경험을 함께 체험함으로써 타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나아가 자신의 지평을 넓히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이 과정에서 타자를 관계에서 배제하지 않는 정의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공감이 도시적인 것 안에서 가능한가를 묻는 과정에서 “도시적인 것”을 신자유주의적 경쟁뿐 아니라 이 경쟁으로부터의 벗어날 수 있는 정치적 마주침 역시 가능한 공간으로 개념화함으로써 도시적 젠더정의를 위한 단초를 마련하였다.


In this paper, I first diagnose the most often remarked urban affective as the misogyny. And then I show that it interrupts a correct understanding of women and a just gender relation with the premise that male subject has an distinct boundary and woman who treats it must be excluded as an abject. Moreover I criticize shame or sympathy as the moral emotion in which the subject can not avoid to premises the object as an inequal, and empathy as the moral emotion in which the subject can not sense the difference of the object. So, these moral emotions can not form the basis of the just gender relation. Therefore I suggest co-feeling as the proper affective structure to form the just gender relation. Because the co-feeling is orientated toward interdependence, participation in other’s experience and responsiveness to each other, so one with co-feeling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the other and extend one’s horizon. Accordingly, the co-feeling forms the basis for not to exclude the other from the relation. Finally I argue that we need to re-conceptualize “the urban” as a node on which the neoliberal competition intersects with the breaking away from it and the isolation with the encounter. As far as “the urban” as place for encounter is concerned, we can explain the co-feeling as a passible alternative affective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