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1세기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학교 현장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개인의 감성을 고찰함으로써 감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울러 학교 현장에서 감성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에 맞는 학교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있다. Bar-On(1997)은 감성지능을 “환경적 요구와 압박에 성공적으로 대처하는 사람들의 능력에 영향을 주는 일종의 기술이나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이런 정의에 토대하여 감성지능은 개인간, 개인 내, 적응, 스트레스 관리, 일반 감정 능력 등 5가지로 구성하고 있다. 개인내 능력에는 자기인식, 확신, 독립심, 자아실현, 자존심이 있고, 개인간 능력에는 감정이입, 사회 책임성, 개인간 관계가 있다. 적응능력은 현실평가, 융통성, 문제해결력으로 구성되며, 스트레스 관리능력은 스트레스 인내, 충동억제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일반 감정 능력에는 낙천성과 행복으로 하위 요인이 구성되어 있다. Goleman, Boyatzis, McKee 등은 감성지능도 인지지능처럼 학습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는 현재 미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회적 감성 학습 프로그램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진로교육, 상담,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에서 활용 할 수 있는 방안들을 탐색하였다.


This study firs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on Emotional Intelligence(EI) that can lead to success individual life and second concentrates on concerns about emotional education. Bar-On(1997) defines Emotional Intelligence as "skills or competencies that can be influenced with person's ability that deals with successfully in environmental demands and presses." Based on this definition, Emotional Intelligence consists of five abilities: (a) intra-personal, (b) inter-personal,(c) adaptability, d) stress management, and (e) general mood. Based on this theoretical foundation, this study introduces many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programs that teachers can use in school. These programs are useful to students for development of EI competencies. But there are no compre- hensive programs ye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 developing a comprehensive program through systematic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