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주최 체육 직무연수 및 교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교사 체육연수제도에 대한 개선점 및 향후 초등교사 체육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년 7월 27일에서 8월 7일까지 10일간 D교육대학교에서 개최된 2009년 초등 체육교과 직무연수에 참여한 초등교사 90명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5명(남2명, 여3명)의 초등 교사를 유목적적 표집법에 의하여 연구 참여자로 선정 하였다. 자료 수집방법으로는 심층면담, 관련 문서 수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중 심층 면담이 주요자료 수집방법이 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사례기록법과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고,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에 의한 검토, 동료 간 협의, 다각도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체육연수 전반에 대한 인식 측면, 체육연수 교재에 대한 인식 측면, 체육연수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범주화 되었다. 체육연수에 대한 전반적 인식 측면은 체육연수시간의 적절성, 체육연수 강사의 적절성, 체육시설 및 환경의 적절성으로 하위 범주화 되었고, 체육연수 교재에 대한 인식 측면은 체육연수 교재 내용 중 추가해야 할 내용, 체육연수 교재 내용 중 수정해야 할 내용으로, 개선방안으로는 체육연수대상자 선발 방안, 체육연수의 바람직한 형태, 체육연수의 바람직한 목적, 체육연수의 바람직한 평가 방법으로 각각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towar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physical education training, textbook and possible improvement planes to derive data that can be applied to developing improved physical education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male and 3 female) that participated in the 2009 Physic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was held at 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July 27 to August 7, 2009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nd data were gathered based on related literatures. The methods of analysis were case recording and inductive categorization method and participants' review, inter-peer discussions, and multifaceted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improve authenticity of data. In result,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toward physical education training were categorized into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training,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Also,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in terms of selection of trainees, desirable forms of physical education training, desirable purposes of physical education training, and desirable evaluation criteria for physical education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