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실과교육과정과 제 7차 실과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영역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의 화보처리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일선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사들이 실과교과서를 재구성하여 학습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화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래의 교과서 개발에 있어 매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교과서는 문장으로 구성되는 본문과 사진, 삽화, 만화, 도표 등의 화보로 구성된다. 특히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특성상 화보의 다양성이 중시되고 있다.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화보의 표현 형태, 크기, 기능을 분석해 봄으로써 화보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화보의 비중을 통해 화보의 올바른 해석이 중요함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2007 개정 실과교과서의 화보처리방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첫째, 전체 화보의 수는 2007 개정 실과 교과서(평균 149.4개)가 7차 실과교과서(137개)보다 평균 12.4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지면당 화보수는 2007 개정 실과 교과서가 7차 실과 교과서 보다 평균 0.6개 증가하였다. 둘째,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화보의 표현 형태는 사진 자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삽화, 만화, 도표 순이다. 이는 사진자료가 식물을 가장 사실적으로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화보처리방식이 사진 자료 위주에서 다양한 화보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화보의 크기를 비교하면 작은 크기의 화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중간 크기의 화보, 큰 화보 순이다. 화보의 크기를 살펴보면 2007 개정 실과 교과서에서 작은 크기의 화보수가 7차 실과 교과서 보다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는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의 학습내용을 구체적인 화보로 많이 제시하기 위하기 위하여 작은 크기의 화보를 늘렸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화보의 기능은 학습 자료의 제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체험활동 안내, 학습 동기 유발의 순이다. 이는 단원의 특성상 체험활동을 예시할 시각자료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o compare the use of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an improvement of the use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textbook developers, publishers, and teachers in their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the study,󰡐Unit of Living with Plants󰡑in the fif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in Korea was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kinds of illustrations, sizes of illustrations and purposes of illustration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have about 7.5 illustrations per page whereas 7th practical arts ones have 6.9. Second, even though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s, kinds of illustrations of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have more ratio of pictures, cartoons and diagrams than the ones in the 7th practical arts textbooks. Third, sizes of illustrations of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ordered in small, medium, large size illustrations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medium sized illustrations. Lastly, the purpose of the illustrations from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on the decrease the guidance for hands-on activity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learning motive induction and supply of learning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