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과학자들이 실험실에서 과학 지식을 생성하는 것처럼 학생들 또한 수업 시간에 과학 탐구를통하여 자신의 지식을 구성한다. 학생들의 탐구 활동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들이 탐구하고 발견한 아이디어가 타당한지 검증받고 다른 학생들과 함께 논의하는 과학적 정당화 활동이다. 본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적 정당화 활동을 구체화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 및증거를 들어 개인적으로 표출하는 ‘개인적 정당화’ 활동과 동료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속에서 의미를 구성하는 ‘사회적 정당화’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즉, 학생들의 과학적 정당화 과정을 쓰기 및 말하기 활동을 통한 개인적, 사회적 정당화 과정으로 구성하고, 명시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예상-관찰-설명(POE) 단계에 의한 과학 탐구수업을 개발하였다. 또한이 수업이 학생들의 구성주의 과학 학습 환경 인식, 수업 참여도, 자아효능감, 과학 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과학적 정당화 활동을 촉진하는 과학탐구수업은학생들의 수업 참여 및 과학 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구성주의 과학학습 환경 인식 및 자아 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적 정당화 활동이초등학생들의 탐구 학습에 미치는 과학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cientific inquiry instruction to facilitate students' scientific j ustification activities, to study its effects on students' perception on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 ment, class participation, self-efficacy, and scientific concep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 o 4th grade classes in Seoul, KOREA. The instru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for 24lessons during 8 weeks. For this study,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For s cientific justification, "individual justification" was differentiated from "social justification" by using Prediction -Observation-Explanation(POE) instruction model. Individual justification was to individu ally express students' own claims based on evidence. Social justification was to facilitate students t o express meanings to be formed in the context of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The results of th is study includ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perception on constructivist learning en vironment and self-efficacy, while significant statical effects were gained on class participation and scientific concep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