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잠자리 수채와 잠자리 관찰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3회 한국학생 과학탐구올림픽 자연관찰탐구대회에 참가한 48개팀(2인 1조)의 보고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관찰 방법과 대상은 시각관찰(97%), 단순관찰(93%), 정성관찰(63%), 부분관찰(88%), 단수관찰(96%), 정적관찰(87%)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다양한 관찰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교사가 대상의 특성에 따라 가능한 모든 관찰 유형을 추출하여 자세히 안내함으로써 학생들의 부족한 관찰유형을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둘째, 절대관찰력지수가 다양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절대적 관찰력지수 산출식은 다양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형태의 관찰을 우수한 관찰로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관찰 자체의 수와 관찰의 다양도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많은 수의 관찰을 한다고 해서 다양한 형태의 관찰을 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셋째, 가설생성능력지수와 잠자리관찰을 통해 발견한 과학적사실의 수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가설생성능력지수와 수채관찰을 통해 발견한 과학적사실의 수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생들이 관찰 경험의 기회가 많았던 잠자리에 관한 배경지식이 풍부했고 더 적극적인 관찰을 했음을 의미하며, 배경지식과 관찰을 통해 획득한과학적 사실을 가설생성의 설명자로 적극 활용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설생성 학습을 실시할 때는 학생들에게 친숙하여 배경지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으며 관찰을 통해 보다 많은 과학적 사실을 알아낼 수 있는 대상을 선정해야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또한 과학수업의 교수를 위해 학생관찰의 특성에 관한 발견의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bserving the dragonflies larva and dragonflies. For this we analyze the reports of (one of two) middle school 48 teams who participate in the 23th Korea Student Science Inquiry Olympics-nature observation inquiry competition. Followings are the study results. First, observing way and target of students leaned too much towards on visual observation(97%), simple observation(93%), qualitative observation(63%), particular observation(88%), singular target observation(96%), static state observation(87%). Second, we found that absolute observational ability quotient were highly correlated to diversity. Third, there were high correlation between hypothesis explanation quotient and quantity of scientific facts about dragonfly, but there were low correlation between hypothesis explanation quotient and quantity of scientific fact about dragonfly larva. This study also discussed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on the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of students for teaching in science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