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초등체육전공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Bereday의 비교분석방법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해서 분석했으며,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 초등체육전공 교육과정의 목표는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연구, 교수전문성, 인격 등 교사로서의 ‘능력 및 자질’과 관련된 측면을 포함해서 구체화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 초등체육전공 교육과정의 내용 중 전공기초과목은 ‘교과교육학 중심’으로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해야 하고, 교과교육학 및 연구방법론 강좌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할필요가 있다. 셋째, 전공선택과목은 ‘다양성’에 기초하여 선택의 폭을 넓이되, 학문영역별혹은 현장 실무능력 배양을 위한 전문화과정별로 ‘체계성’을 갖추고, 학교현장으로의 전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현장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체육학내 통합 뿐만아니라 여러 교과를 가르치는 초등교사의 특성을 살려 주제중심으로 토론할 수 있는 콜로키움 형식의 강좌 개설을 통해 타학문 영역과의 통합 혹은 교류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EPE) major curricula 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s methodology based on the comparison of Bereday was modifi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EPE major curricula should reflect the 'contemporary flows and social needs’, and give shape including aspect of ‘competence and quality’ such as research, teaching expertise, teacher’s character, etc. Second, the basic course in majoring among EPE major curricula 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hould organize and operate courses as 'subject matter-centered pedagogy’. There is also a need to specify subject matter pedagogy and research methodology as required course. Third, the optional course in majoring should organize a wide range of selection on the basis of 'diversity', have systematically specialized courses for each academic area or field-based practical capacity, and need to strengthen the practical skills and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kinesiology, and try to integrate or interact with other academic areas through a colloquium lecture format that can be discussed with the central t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