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 다르마는 불교뿐만 아니라 인도의 모든 종교와 형이상학 윤리와 정치 법, , 】과 관습 등에 대하여 사상적 구심점의 역할을 한 개념이다 그런데 고대 인도의 아리.아족에 의해 자연의 규칙이나 윤리의 규범이나 제사의 의례를 의미하는 것으로 성립된 리타 개념이 우파니샤드적 전통이 강화되고 사회의 조직이 복잡해짐에 따라 종교 적 절대자 브라흐만 아트만 신 를 전제로 한 정의나 의무 개념으로서 다르마 로 대[ , , ] 체되었다 그러나 이런 절대자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에서는 다르마를 세상의.( )緣起건 관계론으로 보았다 그 후 설일체유부에서는 연기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구성하.는 기본요소들은 실재한다는 요소 환원적 토대론을 주장하였는데 반해서 중관불교에,서는 바로 연기이므로 그런 요소들의 실체적 자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철저한 비실체적 공 사상을 주장하였다 그렇지만 즉사이진 의 현실주의에 익숙한 중( ) . ( )空 卽事而眞국의 화엄학에서는 이런 공성 을 법성 으로 하는 법계 를 이 현실 속( ) ( ) 空性 法性 法界에서 원융 무애한 진리 그 자체의 세계로 간주하였으며 이런 진여 인 법성이 일, ( )眞如심 상에 현한다고 하여 본체론을 인성론 내지 심성론과 결합시켰다 특히 중국( ) .一心불교에서 불성을 자성화시키는 경향이 있었던 것은 불교가 중국화되는 과정에서 중,국 특유의 인성론 과 본체론 의 결합이 개입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 人性論 本體論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