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주역』 단사(彖辭)의 “복(復)에서 천지의 마음[天地之心]을 보리라.”는 구절에서 ‘복’은 심(心)을 의미하고 ‘천지의 마음’은 성(性)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구절에 대한 해석 속에는 해석하는 사람의 수양 이론이 담기게 된다. 장재는 복괘 해석에서 동(動)함이 전혀 없는 지정(至靜)의 상태를 천지의 마음[純善]으로 본다. 인간의 감정은 이미 동(動)한 것이므로 순수한 감정이란 있을 수 없다. 곤괘[至靜]를 미발[純善]로 보는 주정주의(主靜主義)는 이처럼 인간의 감정[情]은 결코 신뢰할 수 없다는 전제를 담고 있다. 지정(至靜)은 경험의 영역에 실재하지 않기 때문에, 장재는 경험의 영역에 실재하면서 동(動)함이 가장 적은 상태인 복(復)을 통해 천지의 마음[性]을 구하려 한다.[心統性情] 여기에서 복(復)은 정(情)으로 표출되기 전의 마음[心]을 뜻한다. 복괘 해석에서 정이는 한 겨울에 스스로 발아하는 씨앗처럼 외부 환경에 상관없이 안에서 솟아나는 순수한 마음을 천지의 마음으로 본다. 복괘[動]를 미발[純善]로 보는 주동주의(主動主義)는 사람에게는 ‘안에서 솟아나는 순수한 마음’[性]이 선천적으로 주어져 있다[性卽理]는 전제를 담고 있다. 주희는 정이의 주동주의를 계승하면서도 ‘인간의 순수한 마음은 그냥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잘 길러내야만 샘물처럼 솟아나는 것’이라는 미발함양(未發涵養) 이론을 세웠다. 그리고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순수한 마음이 ‘아직 자신에게 드러나지 않았을 때’와 ‘자신에게 드러난 때’를 구분한다. 복괘를 미발에서 이발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설명함으로써 마음이 미발에서 이발로 나아가는 과정[心統性情]임을 밝힌다. 주희의 미발함양은 장재의 심통성정을 변용하여 그 틀 속에 정이의 성즉리를 담아 계승한 것이다.


The Commentary of the Judgement in the hexagram of Fu(復) of I Ching notes “In the hexagram of Fu one sees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here, since Fu denotes the human mind (心) and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denotes the human nature (性), the interpretation of this phrase cannot but reflect the essence of one’s philosophy. Zhang Zai (張載) regards ‘absolute tranquility’ (至靜) as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However, because absolute tranquility cannot exist in the reality, he attempts to search for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in Fu instead, where movement is at its slightest, but actual. The assertion that human emotion can never be reliable is contained in his tranquility-centered theory (主靜主義). Cheng Yi (程頤), on the other hand, projects the sprout that shoots forth against the cold as Fu, and strives to see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in the life-force that exists even in the desert and glacier. In his movement-centered theory that considers the budding blossoms as the supreme good, it is mainly asserted that nothing can be good unless it is in movement. Zhu Xi (朱熹), while succeeding the legacy of Cheng Yi’s movement-centered theory, argues that the human goodnes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issued forth out of nowhere, but must be cultivated carefully in order to be poured forth like spring water. To buttress such an argument, he build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allows both cases, one being the human mind manifests itself to oneself and the other that does not. In Zhu Xi’s interpretation of Fu, which denotes November of lunar calender setting winter solstice at its center, he places what is before the winter solstice as wei-fa (未發, before-issuance) and after the winter solstice as yi-fa (已發, after-issuance), reflecting the structure of mind that comprises of both wei-fa and yi-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