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플라톤 [크리톤]의 기존 국역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면서 번역의 문제를 드러내고 대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번역 비평 작업에서 자연스럽게 제기되는 [크리톤]의 이해와 해석의 문제를 검토하면서 해결책을 제시한다.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플라톤 국역 작업에 대한 중간 점검을 행하면서 관련 원문 연구자들에게 타산지석이 될 만한 팁이나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크리톤』에 대한 기존 우리 학계의 오해나 이견을 해소하려 시도하는 것이다. 우선 [크리톤]의 핵심 부분인 소크라테스의 탈옥 거부 논변을 (1) 숙고의 출발점을 다루는 예비 논의, (2) 위해 금지 원칙과 합의 이행 원칙을 토대로 한 논변, (3) 그 두 원칙과 층위가 다른 국법에 대한 복종 원칙을 도입하는 가상 국법 논변으로 나눈다. (1)에서는 ‘로고스’의 의미를 ‘원칙’으로 새기는 두 국역의 한계를 제시하면서 ‘논변’으로 볼 가능성을 탐색한다. (2)에서 제시되는 도덕 원칙의 수가 두 개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 둘이 (3)에서 도입되는 셋째 원칙과 ‘하물며’(a fortiori) 논법에 의해 연결된다는 점을 드러낸다. 그 과정에서 (3) 논변을 크리톤 상대의 수사학적 논변 정도로 평가절하하면서 (2) 논변만을 진정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논변으로 간주하는 기존 해석들의 한계를 확인한다. 아울러 ‘phainetai’나 ‘dei’ 등 주요 개념에 대한 기존 학계의 관행적 이해를 극복하는 대안을 제시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valuates existing Korean translations of Plato’s Crito by revealing some problems concerning the translation, and offers alternative solutions on them. It also reviews problems concerning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Crito and offers solutions. Thereby it purports to offer some tips or information which can be a good lesson to researchers on original texts, while examining the tasks of translating Plato into Korean that are fairly under way, and, at the same time, tries to settle some misunderstandings or disagreements which our established academic world has about the Crito. I divide Socrates’ arguments against escaping from prison, which is the crucial part of the Crito, into three parts: (1) preliminary discussion dealing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deliberation, (2) arguments based on the ‘no-harm’ principle and the ‘promise keeping’ principle, and (3) the state law’s imaginary argument introducing another principle, i.e. the ‘obeying the state law’ principle, which lies on a different level from the two precedent principles. In (1), existing Korean translations understand ‘logos’ as ‘principle’, which I find problematic and therefore offer ‘argument’ as an alternative. In (2), we can find two moral principles, pace some Korean scholars, and these two come to be connected with the third one by virtue of argumentum a fortiori. In that respect, some Korean interpreters who depreciate the argument in (3) as a rhetorical one that was solely made for the dim-witted Crito, and count only the arguments in (2) as Socrates’ authentic philosophical arguments, have limits. I find that many Korean translator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two, fail to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some significant words like ‘phainetai’ or ‘dei’, to which I offer some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