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모리스 메를로-퐁티는 제 2차 세계대전 후 형성된 냉전기의 예민한 정치적 상황에서 사르트르와 더불어 소위 지성적 앙가주망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였으며, 스탈린주의와 연결되는 공산당에 대한 지지 문제로 당대 지식인들과 첨예하게 대립하기도 했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과 더불어 그는 서양지성사의 오래된 숙제인 물심 이원론의 문제로부터 인간과 세계를 철학적으로 구원하려는 작업을 시도하게 된다. 곧 에드문트 후설의 깨어진 꿈, 완전한 환원의 토대인 선험론적 주관성의 현상학 이념을 그 자신의 실증 현상학적 태도, 소위 <현상학의 현상학>으로 완성해 가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 도정에서 그는 주지주의와 경험론의 상관적 지양을 확립한 미증유의 지각사유를 통해 신체철학의 최초의 저작권자가 된다. 현상학의 시추자 후설이 지향적 의식의 관념-선험론적 성격으로 말미암아 데카르트적 독아론의 의혹을 사게 되는 반면, 메를로-퐁티 그는 세계개방(ouverture au monde)으로서의 실질적 지향성 이념과 살의 몸(corps de chair)이라는 선험-질료론적 주체 개념을 명시화하면서 이 아포리아를 불식시키게 된다. 즉 존재의 보편원질인 살로 이루어진 세계이자 체현된 다른 의식들도 함께 거하는 이 <세계>와 지각하는 <신체주체> 사이의 필연적이고도 밀접한 존재론적 격자인 신체도식(schéma corporel)은 저 독아론의 문제를 궁극적 차원에서 해결하는 것이다. 그 결과 소위 타자성(altérité)이란 지각주체에게는 필수불가결하게 되면서 오히려 이 타자성이야말로 주체를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가역적인 살, 공통의 원질이 되는 살을 근거로 세계와 ‘더불어’ 체현되는 지각관계는 ‘의미로서 신체’의 <표현성>을 통하여 확연히 개시(開示)된다. 이 의미는 언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발언하는 파롤(parole parlante)을 전제한다. 이와 같이 <언어적 몸짓>이란 “세계광선”(rayons de monde)이나 “계몽의 살”(rais de lumière) 그리고 관념적 “골조”(membrure) 안에 잠재된 지성적 합리성 곧 메를로-퐁티의 정신성(idéalité)의 토대를 제공하는 바이다. 또 세잔의 예술을 통해 상징화된 창조적 잠재력도 명료하고 계도적인 살의 감지력인 ‘지각적 확장’ 속에 기입돼 있다. 요컨대 메를로-퐁티의 포괄적이고도 정교한 살-지각 구조의 분석은, 자신의 때 이른 죽음으로 말미암아 그 심층연구가 미완으로 남게 된 ‘감지적인 것’의 존재론(ontologie du sensible)으로 다다를 예정이었다.


Maurice Merleau-Ponty(1908-1961) est naturellement philosophe français représentatif du courant phénoménologique issu de Edmund Husserl(1859-1938). Dans la France de l’après-guerre de 1940-45, il fut, avec Sartre, avec qui il fonde la revue Les Temps Modernes (1945), la figure la plus marquante de la philosophie et de l’engagement intellectuel en politique, en une époque de guerre froide où se posait la question du soutien au Parti communiste lié au stalinisme. Il est l’auteur de la première philosophie du corps par le biais de la première philosophie de la perception, qui établit un dépassement corrélatif de l’empirisme et de l’intellectualisme. Sur ce fondement fut rendue possible la première philosophie d’autrui: chez Husserl demeurait le solipsisme cartésien que Husserl en raison du caractère transcendantal de la conscience intentionnelle. Merleau-Ponty précise une conception du corps de chair et de l’ouverture au monde (intentionnalité). Le schéma corporel, l’étroite intrication du corps percevant à un monde fait de la même chair et où se trouvent d’autres consciences incarnées, résout le solipsisme l’altéritéest constitutive du sujet percevant. Sur fond de chair commune et réversible, la relation incarnée au monde se traduit dans l’expressivité du corps comme sens-impliquant le langage et avant tout la « parole parlante». Le geste linguistiquefonde une rationalité intelligible, déjàinscrite en puissance dans des «rayons de monde», «rais de lumière», «membrure» intelligible. La puissance créatrice, symbolisée par l’art de Cézanne, s’inscrit dans le prolongement de la perception comme sensibilité charnelle éclairée, lumineuse. Les analyses de Merleau-Ponty devaient déboucher sur une ontologie du sensible dont la mort prématurée du philosophe n’a pas permis le développ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