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화이트헤드가 그의 우주론에서 궁극적인 단위 존재로 상정하고 있는 현실적 계기는 생성하는 과정적 존재로, 제각기 미적 가치를 성취하고자 하는 목적론적 구조를 가진다. 그래서 미는 우주론적 생성의 토대가 된다. 현실 세계는 미적 질서의 산물이며, 도덕적 질서라는 것도 미적 질서의 한 측면들에 지나지 않는다. 이 궁극적 가치는 다른 문맥에서 중요성이라는 다소 중립적인 개념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미와 중요성은 모두 우주 과정의 목적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교환 가능한 개념이다. 그리고 화이트헤드는 도덕을 바로 이런 중요성, 즉 미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과정을 제어하는 데서 성립하는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도덕적 가치가 미적 가치에 포섭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그런데 화이트헤드의 과정에 대한 고전적 유형의 해석은 생성하는 주체로서의 계기와 생성의 객체인 자기초월체로서의 계기를 날카롭게 구별하고, 현실성을 오직 생성하는 주체에만 배타적으로 귀속시켰다. 우리가 이런 전례를 따라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을 해석하고 이에 함축된 가치론을 문제삼을 경우, 오직 주체로서의 현실적 계기만이 미와 중요성을 향유할 수 있는 것으로 보게 된다. 그리고 이런 독해는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에서 끌어낼 수 있는 도덕이론이 유아론적 구도를 피해가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판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이런 비판을 넘어 건전한 도덕이론의 구축 가능성을 말할 수 있으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주체와 자기초월체를 존재론적으로 구별하여 과정을 분석하는 고전적 유형의 해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때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자기초월체의 정확한 존재론적 지위이다. 화이트헤드에게서 자기초월체는 자기 구성을 마감한 존재, 곧 만족에 도달한 존재이며, 만족은 미적 성취로서의 대비의 느낌이다. 그런데 만족이 느낌이라면, 자기초월체는 여전히 현실성을 간직한 존재로 간주되어야 한다. 고전적 해석은 이 점을 간과하였다. 생성을 마감한 계기는 자기구성을 마무리했다는 의미에서 자기초월체이지만 여전히 최종적 성취로서의 만족을 느끼고 있다는 의미에서 주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중요성과 미의 향유가 생성하는 주체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것, 객체화된 계기들도 그 자체로 중요성을 향유하고 있는 존재, 그래서 본질적 가치를 담지하고 있는 존재라는 것을 함축한다. 그리고 자기초월체의 이런 자기 향유는 자기만족이라는 이기적 가치에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이행의 과정을 통해 타자 전체와 공유되기 때문이다. 주체와 자기초월체가 분리해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는 화이트헤드의 주장이나 모든 존재는 그 자신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타자와 전체를 위해서 어떤 가치를 가진다는 그의 주장은 이 문맥에서 온전한 의미를 회복한다. 그리고 우리가 과정철학이 유아론적 도덕론을 함축하고 있다는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존재론적 토대를 발견하는 것도 바로 이 지점에서이다.


Actual occasion as the ultimate unit of cosmic process aims at attaining its own aesthetic value. It has teleological structure. For this reason, beauty is regarded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cosmic process. The actual world is the outcome of the aesthetic order, and the moral order is merely certain aspects of aesthetic order. In other context, this ultimate value is translated into importance. It may be, thus, said that beauty and importance is interchangeable each other. In fact, Whitehead also says that morality consists in the control of process so as to maximize importance. By the way, some of Whiteheadians have suggested that actual occasion as the subject of becoming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superject as the object of becoming, and thus, actuality should be exclusively attributed to the subject of becoming. But if we accepts their suggestion, we are also forced to conclude that occasion as the subject of becoming can exclusively enjoy importance and beauty. And this conclusion is confronted with the criticism that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implies moral solipsism. If we could effectively reject this criticism, we should be free of their mode of interpretation of becoming,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superject. What especially matters here is the exact ontological status of superject. In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the superject is actual occasion which completes its self-constituting and attains its satisfaction. Satisfaction is a feeling of the contrast as an aesthetic achievement. Now if satisfaction is a feeling, we may say that the superject has its own activity. Classical interpretation failed to notice this fact. Actual occasion becomes superject as soon as it complete its self-creating, but it still remains a subject in the sense that it feels its own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importance and beauty could not be exclusively attributed to occasion as subject, and thus, that superject also enjoys its own importance and beauty. Further, this value which superject enjoys is never an egoistic self-satisfaction, because all other consequent entities inherit and share it in their own becoming. It is in this context that Whitehead’s statements that subject could not be separated from superject, and that everything has some value for itself, for other, and for the whole recover their proper meaning. And in this context, we also are able to find the ontological foundation on which we could sweep off the criticism that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seems to imply an moral solips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