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6?25전쟁 종전 후 40여 년 동안 남북한 군사관계는 휴전협정에 의해 규제되어 왔다. 그런데 1991년 3월 25일에 군사정전위원회 유엔측 수석위원에 한국군 장성 황원탁 소장이 임명되자 북한은 이를 인정할 수 없다며 군정위 본회담에 불참하다가 1996년에는 휴전체제의 붕괴를 기정사실화시켰다. 이런 현실을 받아들여 새로운 평화조치를 취하기 위한 논의들이 노무현 정부에 와서 활발히 전개되다가 2005년 ‘9.19공동선언’과 2007년 남북정상희담 공동선언으로 구체화 되었다. 이명박 정부가 이 난제(難題)를 물려받아 경색되어 있는 남북한 관계 속에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강한 대북 설득력을 확보해야 되고, 그러기 위해서는 특히 중국의 적극적인 협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평화체제(peace regime)의 ‘체제’라는 말을 법규체계(a system of legal rules)나 국가들의 행위를 규제하는 장치(mechanism)라는 의미로 파악하여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는 문제에 대해 협상론과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평화체제를 건설하기 위해 휴전협정이 평화협정으로 반드시 대체 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휴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한다면 어떤 형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주체는 누구여야 되는가, 그리고 이 질문들에 대해 중국은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평화체제를 공고히 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겠는가를 규명하고 있다.


For more than 40 years since the Korean War, inter-Korean military relations have been regulated by the 'Military Armistice Agreement in Korea'. Yet, when the South Korean general, Major General Hwang Won-tak, was nominated to become a senior member of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on March 25, 1991, the North Korean government refused to recognize him and stopped attending the meetings of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In addition,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ttempted to break the Armistice regime through institutional dismantlement and a series of military provocations during the mid 1990s. Recognizing this situation, the Ro Mu Hyun government held active debates to identify new peace measures, which were subsequently declared in the Joint Statement on 19 September, 2005 and Joint Statement of the Inter-Korean Summit on 4 October 2007. However, the new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s now being challenged to find stronger and more persuasive ways to engag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In particular, the Lee Administration needs China's active cooperation. Thus, understanding the term "regime" in peace regime to mean a system of legal rules or mechanisms to regulate the conduct of states, the current research approaches the question of substituting a peace agreement or peace treaty for the Armistice 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negoti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Is such a substitution appropriate, and if so, what should be the format and which parties need to be involved?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s China's position on these questions, and its role in consolidating a peace regim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