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텔레비전 드라마 장르에 나타난 아동권리 침해 사례와 유형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드라마 상의 아동권리 보호를 위한 제작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분석은 아동이 주요한 출연자로 등장하는 지상파 3사의 드라마에 대한 내용분석에 초점을 두었으며, 분석의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드라마 장르의 아동권리는 성과 연령에 따른 침해가 두드러졌고, 특히 장르적 특성상 가정 내에서의권리 침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아동권리 침해의 가해자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많았고, 주로 가부장적 현실과 왜곡된 가족 문화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권리 침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었다. 드라마 장르의 아동권리 침해는 권리 보호의 주체여야 할 부모나 가족이나 친척, 이웃 등으로부터 오히려 두드러졌으며, 정서적 폭력은 아동 권리 침해의 가장 지배적인 유형이었다. 이 외에 아동에 대한 신체 폭력, 의견 무시, 언어 폭력 등이 다양한 맥락과상황 속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로서의 아동권리 보호가드라마 장르에서는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었으며, 그야말로 아동권리의 사각지대를 방불케 하였다. 현실과 실재에 대한 허구적 구성이라는 장르상의 특성과 그 본질을 감안하더라도 드라마 상의 아동권리 보호를 위한 다양한 차원의 제작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various types of child rights infringements and proposes effective guidelines to protect child rights as portrayed within the television drama genre. The collected data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fringements on child rights occur variously in relation to children’s gender and age, especially in the family domain within the television drama genre. In these infringements, the attackers are mainly women, who are the agents of distorted patriarchal reality and distorted family culture. The infringements on child rights portrayed in television dramas include children being attacked by family members or other adults such as neighbors, relatives, and even parents, who should act as protectors. Affectional violations are a dominant factor, including physical and verbal attacks, as are ignorant opinions in various contexts and circumstances. Children are shown as second-class citizens. The television drama genre is a dead zone for child rights. Even though the worlds constructed for the stories are spurious, guidelines for television portrayals of child rights are strongly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