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우자 폭력의 여성 피해자들은 심신상태와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더 나은 삶을 위해 긍정적 정서와 인지 등 긍정성을 발휘한다. 기존 심리사회적 개입은 주로 여성 피해자의 문제에 초점을 두어 역기능성의 감소가 긍정성의 향상을 반드시 수반하지는 않으므로 자신과 결혼 및 배우자 관계에서의 긍정성과 역기능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간과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강점중심의 해결중심 개별상담이 여성의 긍정성과 역기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 질적 자료를 사용하여 비참여자들과 비교하며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이들 제 변수에서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담 참여자들의 희망감과 결혼 및 배우자에 대한 긍정성이 증가하고, 불안감과 결혼 및 배우자에 대한 부정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비참여자들에서는 불안감만 유의하게 감소했다. 참여자들의 사전-사후 목표달성 정도는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비참여자들의 목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질적 자료 분석에서, 참여자들에 의하면 희망을 갖고 자신을 돌보며 긍정적 자세를 취하는 데 해결중심 개별상담이 도움이 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와 심리사회적 개입 및 연구에 대한 함의,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해 논의하였다.


While women suffering from spousal violence experience hardships in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living, they also exert positivity, including positive emotions and cognition to pursue a better life. Existing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cus mainly on these women's problems, neglecting the fact that a decrease in dysfunction does not necessarily accompany an increase in positivity thus interventions need to consider both positivity and dysfunction in relation to issues of the self and the women's marriage and spous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aspects of the effects of the strengths-based solution-focused individual therapy(SFIT) on the positivity and dysfunction of women suffering from spousal violence,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s the results show, there were significant levels of improvement in hopefulness and positivity towards the spouse/marriage, and of reduction in depression and negativity towards the spouse/marriage of those participants; however, non- participa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duction only in anxiety. The change of achievement of the goal was significant for the participants, but not for the non-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to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e SFIT was helpful in enabling them to have hope, to take care of herself, and to have a positive life orien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ffects specific to the participants of the SFIT in comparison with the non-participants we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with regard to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