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년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각 집단 별로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중년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생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정책, 사회복지 지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중년(173명)과 65세 이상의 노인(196명)을 의도적 표집으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한 결과 중년층이 노년층보다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활동, 사회활동 참여, 주택소유 등을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중년층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 주택소유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노년층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 성별이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중년과 노년의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개입을 위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연령분포와 지역적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따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etween middle-aged and old-aged people. In particular, it is interested i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uccessful aging and the suggestion of programs and social policy for successful agi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purposive sample of 173 middle-aged people and 196 old-aged people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ANOVA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successful retirement is higher in middle-aged people than old-aged people.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ase of middle-aged people, they are self-este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possession of a residence. On the other hand, old-aged people are affected by self-este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sex. According to this research, social policy for successful aging should be differently designed between the two group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factors affecting their per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