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위생수준은 과거에 비해 많이 향상되었으나 국제교역확대와 함께 식품안전의 문제 또한 증가추세에 있다. 세계무역개방은 많은 경제적 효율성과 재화 조달에 대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가간 제조 기술력 차이와 제조물에 대한 인식 차이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은 우리나라 식품교역의 중심국인 반면 식품안전문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어서 다른 어떤 주변국보다 안전에 대한 포괄적인 문제들을 비교연구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서울지역 소비자와 중국의 상해지역 소비자간 식품구매시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과 안전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상해의 소비자 785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과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AMO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의 소비자가 상해 소비자에 비해 지각된 위험의 수준이 높았다. 둘째, 서울지역 소비자의 안전추구행동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서울지역 소비자는 지각된 위험이 직접적으로 안전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안전지향성과 안전문제인식도인 안전의식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서울지역 소비자의 경우 지각된 제품위험과 지각된 장소 위험이 비슷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나 상해지역의 경우 지각된 장소 위험보다 지각된 제품 위험이 현저하게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으며, 지각된 장소 위험의 영향력은 다소 낮은 편이다. 넷째, 안전의식 중 안전지향성이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서울의 경우 그 영향력이 상해보다 높게 나타났다.


Due to the development on the science technology, sanitary levels have incomparably improved but the food safety problems related to international trades have increased. The key point of this study is to defuse the consumers mental and physical uncertainties about food safety and to use the data as a prevention of various future problems related to international trade. In this study, I have selected Seoul and Shanghai as the representative cities of Korea and China and compared consumers' Perceived Risk, Food Safety Consciousness and Food Safety Pursuit of each c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I have done three empirical researches of where finally the 785 cases of questionnaires were put into an analysis. In the study, the established hypotheses related to the forming process of consumer Food Safety Pursuit were verified by the covariance structural modeling, and the AMOS 4.0 computer program as used for the covariance structural modeling thereafter. The summary of the study is represented in the following. First, the consumers in Seoul have higher Perceived Risk than those in Shanghai. This is because the consumers in Seoul are more aware and savvy about food safety. In addition, the consumers in Seoul have a higher sense of danger compared to those of Shanghai. This goes hand in hand with their Food Safety Consciousness. Consumers in Shanghai would purchase items with more of social intentions compared to Seoul where they would purchase items for personal intentions. For example, consumers in Seoul would question themselves whether the products purchasing are really good for them. On the other hand, the Food Safety Pursuit is higher in Shanghai than in Seoul. This is based on the education difference of the two countries. This can cause a lot of discrepancy in product trading of Korea and China for the lack of information share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conclusion, Seoul consumers need to be more careful when exporting products to Shanghai as the consumers there believe the market and if anything went wrong then Korea would suffer.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sense of safety, danger, and action in the pursuit of food safety, consumers in Seoul would be more product savvy compared to consumers in Shanghai. So we need to utilize more data to preve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Seoul and Shangh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