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에 대한 관심은 조선 말(末) 이후 오늘날까지 한국 사회에서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산의실학사상에 나타나는 세계관의 변화와 그 요인을 살펴보면서 기독교세계관과 다산의 사상을 비교해보는 것이다. 또한 이 논문은 세계관의스펙트럼의 관점에서 불교, 성리학, 실학, 다산학, 기독교의 연속성과불연속성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 논문은 이러한 세계관 변화에서 중심적인 축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차이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다산은 궁극자, 인간, 자연을 일자(一 者)로 보는 성리학의 동일철학을 반대하고 인간의 본성과 자연의 본성을 분리하였다. 이러한 인간관 변화는 학문의 방법론적 전환을 가져오고 학문의 목적을 보다 실천에 두게 하였다. 즉 인간은 천(天)으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을 적극적으로 계발하여 도덕적 주체로서 실천할 것을요구받는 존재가 된다. 한편 자연에 대해서는 사변적인 형이상학적자연학을 벗어나서 경험주의적 탐구를 시도하는 주체가 된다. 다산의이러한 인간이해는 외부로부터 온 다른 세계관과의 조우, 즉 천주교의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다산은 도덕적 근거를 비인격적 궁극자로서의 리(理)의 보편적 내재성에 두지 않고 인격적인 궁극자로서의상제에 두고자 한다. 그러나 다산의 인간관은 성리학에 비해서 기독교의 인간관에 보다 가깝지만, 여전히 인간성을 낙관적으로 이해한다는면에서 기독교 세계관과 분명한 차이점을 보여준다. 유교는 인간의노력에 의한 수양가능성을 인정하지만 기독교는 성령이 통치에 의한성화를 주장한다. 유교는 수양된 인간에 의한 이상적 통치(治人)의가능성을 인정하지만 기독교는 하나님의 통치, 하나님 나라를 말한다. 유교가 인본주의적, 인간중심주의적, 현세적 이상주의라고 한다면기독교는 신본주의적, 종말론적 이상주의이다.


Dasan(茶山), Chong Yahk-Yong(丁若鏞; 1762-1836), has been paid continuous attention from the end of Chosen(朝鮮) dynasty to the pres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worldview and its factors in Dasan's Silhak(實學)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Christian worldview. Als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mong Buddhism, Sunglihank(性理學), Silhak, Dasanhak(茶山學), and Christianity from the viewpoint of worldview-spectrum. This article articulates that the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human(人性) and the nature of nature(物性) is the major axis in the transition of worldview. Dasan separated the human nature from the nature of nature by opposing to the identity-philosophy of Sunglihak which views the ultimate, human and nature as the One(一者). This transition of view on man brought the changeover of academic methodology and gave ground for a more praxis based academic purpose. In other words, human, as the subject of morality, is called for moral practice by developing the human nature actively which is granted by the Heaven(天). In regard to nature, human becomes the subject of empirical research, free from scholastic metaphysical theory of nature. Dasan's understanding of the human nature was caused partly by the encounter with the Roman Catholic worldview. Dasan tried to put the basis of moral practice on the personal ultimate reality of Shangti(上帝) rather than on the impersonal ultimate principle of li(理). However Dasan's view on human nature is apparently different from Christianity in that he took the optimistic view on human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