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대출계약구조가 가계의 부채차입 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동태적 균형모형을 통해 분석한다. 아울러, 평균소득이 하락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출구조의 차이가 가계부채의 상환 취약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정상상태에서는 거치식⋅일시상환 방식의 대출구조와 비거치식⋅분할상환 방식의 대출 간에 가계부채의 총량 및 상환 취약성의 차이가 크게 없다. 하지만 소득이 하락하는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는 거치식⋅일시상환 방식의 대출이 비거치식⋅분할상환 대출보다 상대적으로 채무 불이행이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거치식⋅일시상환 대출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는 대출계약구조를 사전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향후 잠재적인 경기 하방 충격에 대비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I quantitatively analyze how debt contract structure affects household borrowing and repayment decisions. In addition, I examine household repayment and default responses when it faces an unexpected drop in average income. My quantitative exercises show that debt contract structures, bullet- or amortization-type contract, do not affect steady-state household debt or repayment vulnerability. However, households are more likely to default on their loans from an unexpected drop in average income when they take out loans through the bullet-type contract rather than the amortization-type contract. This result supports Korean government’s recent efforts to change the debt contract structure from bullet-type to long-term amortization type contracts which reduces potential non-repayment risk from an unexpected drop in average household in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