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reports which Berliner Zeitung published on South Korea in the years 1945 to 2014.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what image of South Korea Berliner Zeitung created for its readers. Which were the dominant topics and in what fields,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 on, were the respective articles published? Were the articles on South Korea primarily written by authors employed by the newspaper or were most of them adopted from news agencies? The study is also interested in the types of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Berliner Zeitung. It attempts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specific tendency in the reporting on South Korea and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at tendency. For the latter a content analysis had to be conducted, with a frame analysis at its center. The study found that most articles were published on political issues. During the time of the GDR (1949-1990) the large majority of the articles had a negative tone. This changed after German reunification when articles became more objective and primarily neutral. The study also found that articles became much more diverse after 1990. While before 1990 almost all articles were written on political issues, after 1990, the economy, culture, and society of South Korea attracted more attention of Berliner Zeitung.


이 논문은 1945년에서 2014년에 걸쳐 독일 일간지 “베를리너 차이퉁”이 한국에 관해 보도한 기사들을 검토함으로써, 베를리너 차이퉁이 독자들에게 한국과 관련해 어떤이미지를 제공했는지를 분석한다. 이런 맥락에서 지배적인 토픽은 무엇이었고, 정치, 경제, 문화를 비롯한 어떤 분야에서 주로 기사들이 게재되었는지, 한국에 관한 기사들이주로 신문사에 의해 고용된 저자들에 의해 쓰여졌는지 아니면 뉴스 에이전시들로부터전달받은 것인지를 살펴본다. 이 논문은 또한 베를리너 차이퉁에 실린 기사들의 유형에도 관심을 기울여, 한국에 관한 보도에서 특별한 경향이 발견되는지, 그런 경향에 중요한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 분석을 핵심으로 하는 콘텐츠 분석을 시도한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기사들은 정치적 이슈에 관한 것이었고, 동독시절(1949-1990)에는 기사들의 대다수가 부정적인 톤을 띄고 있었다. 그러나 독일 통일 이후에는 기사들이 보다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변화되었다. 1990년 이후에는 또한 기사들이 보다 다양해졌는데, 1990년 이전에는 거의 모든 기사들이 정치적 이슈에 관한 것이었던 반면, 1990년 이후에는 한국의 경제, 문화 및 사회에 보다 많은 주의가 기울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