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평행사회’라는 개념이 부정적 의미연관을 획득하게 된 것은 독일 다수사회가 이주자들이자기들만의 성을 구축해 의식적으로 독일사회로 통합되길 거부한다며, 독일통합의 지체 책임을 이주자에게 전가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와 같은 식의 책임전가가 가정하고 있는, 인종적 소수파가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그럼으로써 독일 사회통합의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전제를 검토했다. 독일에서 고전적 의미의 ‘평행사회’는 결코 형성되지 않았다. 설사 이주자의 사회공간적 분리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다수사회의 비난과는 달리 이주자의 자발적 퇴각이 아니라, 강요된 퇴각일 뿐이다. 이주자들은 통합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그들이 이해하는 통합은 일차적으로 구조적 통합이다. 통합을 바라지 않는 이주자들이 증가한다면, 그것은 종교적인 또는 문화적인 차이에서가 아니라 무엇보다 그들이 처해 있는 경제적 및 사회적 맥락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이주자사회에서 평행사회 존재를 기정사실화함으로써 이주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다수사회의 논리가 바로 ‘평행사회’개념이다.


The definition of “Parallelgesellschaften (Parallel Societies)” attained a negativemeaning in the following way: The German dominant society of majority shiftsthe responsibility for the delay of the German integration onto the migrants, insistingthat the migrants resist to be integrated into the German society by establishingtheir own castle. This paper discusses the premises of such an argument. The“Parallelgesellschaften” in classical meaning is not yet established in Germany. Even though the division of social spaces for the migrants exists, then it is notdue to their voluntary retreat as the dominant society blames, but due to an enforcedretreat caused by the exclusion. To the contrary, the migrants have strong willto be integrated into the society and they primarily comprehend the integrationas the structural integration. If the number of the migrants who do not want tobe integrated increases, then it does not come from their religious or culturaldifference, but it is surely attributed to their economic or social context. Therefore, in the migrating society where the redistritubtion of social resourcesbecame the fundamental issue, the definition which serves the purpose of thedominant society of majority, shifting the responsibility onto the minority groupand excluding of the latter from the society is the “Parallelgesellschaf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