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왕조가 17~18세기에 진행하였던 수도방위 전략은 이러한 국제적 조류에 맞추어 변화되었음을 고려해야한다고 본다. 왜란과 호란 같은 외침의 위협이 줄어들고 안정화되는 추세에 따라 국내적인 정치상황의 비중이 더 중요시되었다고 보겠다. 대표적으로 영조대 戊申亂과 정조에 대한 암살기도는 대외방어보다는 국내 정치 안정을 위한 방향으로 전략이 수정되는 계기가 되었다. 즉 17세기 중반기까지는 대외적인 외침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체제의 구축이라고 한다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는 국내의 반란과 정치적 안정을 위한 왕권 강화라는 전술차원에서 도성방어에 대해 접근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조선왕조 어느 왕대이건 정치세력의 반란과 왕권강화를 위한 군사적 변화, 전술의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17세기부터 18세기는 그 어느 시기보다 국왕과 관료의 갈등, 정파간 政爭과 반역음모가 과격하고 잦았던 시기였다. 한편 조선후기 국왕들이 추진한 오군영체제의 변화는 17세기 유럽 왕조가 왕위계승전쟁을 위한 왕권 강화와 군사력 확대를 위해 기존의 용병보다 국왕 직속의 상비군체제로 전환하던 모습과도 유사한 현상이었다고 비교 해석할 수 있다. 더욱이 17세기 이후에는 전세계적으로 이상기후가 잦아져서 농산물 생산의 저하와 농민인구의 도시 집중이 이루어지던 시기였다. 또한 잦은 전염병과 전쟁으로 인구가 감소되어 군제와 무기가 전면적으로 전환되는 군사혁명의 시기로 돌입하고 있었다. 조선에서도 전염병과 이상기후, 흉년으로 유럽 같은 농촌 인구의 도시 유입이 발생하였다. 숙종대 이후 청계천변에서부터 도성 인근인 왕십리와 이태원, 한강변에 유민의 거주지가 늘어난 것은 도성 인구의 증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특히 오군영 체제의 수도권 정착에 따른 삼군영의 도성내 기지 축조와 군영군의 도성내 장기적 주둔은 군사도시의 이미지를 보이는 것이기도 했다. 당시 도성의 변화를 전 세계적 양상의 한 부분으로 해석한다면, 17세기 유럽 위기론의 파고처럼 조선의 도성도 동일한 여파에 휩싸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도성의 군사도시화는 몰려드는 유민의 안정책과 수도방위라는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nges in the system of the military aspects of the capital city in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fter a series of war, two times of invasions at those times, the military power was focusing on the defense system of the capital city and the metropolitan area. This was the result of the military strategy that the Joseon dynasty in late period had pursued. Joseon dynasty had carried out the overhauling and installation of Five military systems or organizations which were regular forces in capital city ‘Hanyang’ and it’s surrounding area, such as Hunlyondokam(the group of military officer for defending the capital area after the invasion of Japan), Uryoungchong(It was installed after Igual’s rebellion to defend the key fortress of the capital city), Kumwiyoung(It’s mission was the royal palace defense), Suurchoung(It was activated for the southern part of capital), Chongungchong(It was also installed after Igual’s rebellion for the defending the northern part of capital.)There was great human migration toward the capital city caused by abnormal climate, frequent famine and epidemic. Thanks to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in the capital, Economic developments in the area had been in progress. As a result of those things, the capital was urbanized rapidly. So It was necessary for Joseon to overhaul the militay systems with the increased populations. These phenomena had not just happened in the Joseon Dynasty but happened in other countries which was global trends. The reinforcement and overhaul the military systems caused by the urbanization was similar to European Kingdoms’ cases after the military revolution of the 17~18th century. This paper focused on the capital city's population that increased in late Jeosun Dynasty, and which would explain the concepts about the urbanization and the overhauling military systems in late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