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국방목표’에 중심을 두고 한국 국방정책 변천과정을 분석했다. 국방목표는 국방정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이고, 정책집행의 지침이자 평가기준이다. 국방목표가 1970년 새로 정립된 ‘국가목표’에 맞추어 1972년 12월 29일 보편적인 국방목표로 최초 제정됨으로써 우리 군은 국방정책과 군사전략의 명시적인 방향을 설정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와 우리 군은 국방 분야의 영역이 확대된 국방환경에 맞추어 자주국방태세를 확립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1981년 11월 28일 국방목표를 전면적으로 개정했다(1차 개정). 그 후 탈냉전시대를 맞아 위협의 범위와 성격이 다양화되자 외부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통일을 대비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1994년 3월 10일 제2차 개정을 단행했다. 한국 국방정책의 변천과정을 ‘국방목표’를 기준으로 시기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➀국방목표 제정 이전 시기는 국방정책 형성기, ➁국방목표 제정(1972.12.28.)이후 시기는 국방정책 정립기, ➂국방목표 1차 개정(1981.11.28.)이후 시기는 국방정책 전환기, ➃국방목표 2차 개정(1994.3.10.)이후 시기는 국방정책 개혁기라는 특징을 보였다. 이처럼 국방정책은 시기별 안보상황과 자주방위능력 등 여건에 부응하며 추진되어 왔지만 문제점도 없지 않다. 그것은 추진된 국방정책의 대부분이 정책평가의 효과성은 있으나, 적절성이 없는 ‘현상유지’ 수준에서 국방목표를 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국방정책들이 목표달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지만 정책목표를 충분히 달성하지는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방정책이 국방목표를 충분이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방목표 제정/개정 시기의 적절성, 국방목표와 안보환경의 상관관계, 국방정책의 일관성, 국방목표와 국방정책의 상관관계, 국방기획관리 효율화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article is based on ‘national defense objective’, analyzed the transitional process ROK national defense policies. National defense objective is to acquire one through national defense policies and it is also the evaluation criteria and guidelines of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It was set up on Dec. 29th, 1972 for the national objective in 1970, it did explicit direction of policy and military strategy. In the 1980s, it had revised one with full scale for the go-it-alone defense posture (1st revision). It was amended secondly on March 10th, 1994 for the unification and the post-Cold War situation. ROK national defense policy transformation processes classified national defense objective by the period are as follows ; (1) The national defense policies foundation perio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defense objective (2) The national defense policies establishment period after the enactment of national defense objective (1972,12,28) (3) The national defense policies transition period after the first reformation national defense objective (1981,11,28) (4) The national defense policies reformation period after the second revision of national defense objective (1994, 3, 10) Like this, national defense policy had been fulfilled in accordance with each period security situation and self-reliance defense capability for objective, but it contains shortfalls. That result is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policy evaluation without properness as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level. This means contributed to somewhat acquiring goal, did not fulfill policy goal. This one is insufficient active role for the favorable change inducement or environment, just against North Korea threat and security environment changing. For the sufficiently acquiring goal, the policy has to approach with properness of content and establishment/revision, consistency, correlation between objective and policy, and efficiency of national defense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