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사립운영 중심의 유아교육의 발전과정과 공교육화라는 현 시점의 당면 과제에 비추어 유아교육의 공공성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에서 추구해야할 규범적 가치로서의 공공성의 의미를 분석하고 교육의 내재적 본질을 구현하는 공공성의 규범적 함의에 입각하여,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으로부터 확산되어 주목받고 있는 교육원리인 기록작업의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기록작업의 의미는 1) 교육주체들의 참여를 통한 탈이기화(脫利己化)의 공공성, 2) 아동의 학습을 중심으로 한 공경태(恭敬態)의 공공성, 3) 지식 구성과정에서의 개방성(開放性)의 공공성, 4) 교육의 과정에서 교육경험 가시화(可視化)의 공공성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역사성과 맥락적 요구 속에 살아 숨 쉬는 이론 및 실천 구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is an attempt to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public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which has been developed under a private-dominated educational system. The meanings in public-ness of education were analysed as normative values, and the implications of documentation were interpreted as essential principles that imply publicness values; 1) a publicness of de-egocentrism by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2) a publicness of building respectful relationships from children's learning, 3) a publicness of recognizing openness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and 4) a publicness of making learning experience visible in the process of education. In conclusion, it was stressed that educational principles, such as documentation, should be approached in the context of here and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