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이야기 만들기에서 보여주는 유아의 마음관련 표현과 마음이론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3세에서 6세 사이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이야기 만들기와 마음 이론 과제를 실시하였다. 개별 면접을 통해 유아에게 글자 없는 그림책을 보여 주고 이야기를 만들도록 하였으며, 틀린 믿음 이해를 포함하여 다양한 마음상태에 대한 이해를 묻는 아홉 개의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야기 만들기에서의 마음관련 표현은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었다. 바람과 정서, 인지와 같은 정신상태 용어와 의도의 표현은 3세와 4세 사이에 많은 증가를 보이지만, 명제적 태도를 보여주는 내포문의 사용은 4세에서 5세 사이에 유의한 발달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신 상태와 의도를 더 자주 표현하는 유아일수록 다양한 마음상태를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틀린 믿음을 이해하거나 틀린 믿음에 기반하여 정서를 추론하고 이차 틀린 믿음을 이해하는 것은 명제적 태도와는 관련이 없으나, 정신상태 및 의도의 표현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children's mind-related expressions and their relations to theory of mind. Children of age 3, 4, 5, and 6 made stories individually with a picture book, “Frog, where are you?”. Responses were audio taped, parsed with sentences, and were coded into one of the mind-related categories. They also were tested with battery task of theory of mind to tap their understanding of diverse mental states including false belief understanding.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utterances of mental state terms, intentions, and propositional attitudes were different by age. Mental-related-expressions were increased between age 3 and age 4, while propositional attitudes were developed between age 4 and age 5. The most powerful independent variable for children's theory of mind was their age. Children's utterances about intentions, desires, emotions, and cogni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ir understanding of false representations even with the control of age and story-making-sentence nu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