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 현장에서 컴퓨터의 통합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내외의 요건을 파악하고, 이런 요건에 따라 컴퓨터의 활용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에 따라 차이나는 다섯 곳의 유치원을 방문,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컴퓨터의 통합 양상은 이용가능한 공간과 수업자원과 같은 유치원의 인적, 물적 자원의 차이와 지역사회의 학부모의 영향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유치원 환경이 보통인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을 비롯, 대집단 수업과 컴퓨터 특별활동 등 가장 광범위하게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반면 우수한 유치원은 자유선택활동 위주로, 상대적으로 환경이 미흡한 유치원에서는 특별활동으로 컴퓨터 자체에 관한 수업을 하고 있어 컴퓨터가 또 다른 교과교육으로 도입되고 있었다. 유치원의 질에 상관없이 컴퓨터 활동이 주제와 통합되어 일어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활동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컴퓨터 사용에서 나타나는 성 차이의 중재와 같은 일은 간과되고 있었다. 이로 미루어 유치원에서 중시되고 있는 지식, 시간자원과 같은 구조적인 특성이 컴퓨터의 교육과정 통합에서 한계로 작용한다 하겠다.


This study described and analyzed how computers were used for kindergarte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fold: (a) to identify the conditions of the classrooms and the communities that might affect computer integration, (b) to describe the nature of the comput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A case study approach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ociet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that affected the computer activities. This study found that computers were heavily used in the middle class kindergartens not for educational purposes but for compensation of scarce teaching materials and for baby sitting while teachers had to do manegerial work such as lunch delivery and sending-home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 high level kindergarten used computers mainly for free play while the low level kindergarten introduced the computer as a subject to teach. The integration of computer activities into other activities in free play did not occurred in all kindergartens because the teachers did not put an emphasis on computer integration unlike language or art activities. Also they felt lack of time for computer integration. Therefore, existing organizational routines such as legitimate knowledge and allocation of time influenced the nature of the computer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kindergart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