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멘토의 자격요건 및 멘토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원과 장학사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우수한 역량을 갖춘 멘토를 선발할 수 있는 자격요건의 설정 및 멘토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유치원 교원 328명과 전국의 교육청에 재직 중인 유아교육담당 장학사 136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멘토에게 요구되는 자격요건에 대해 유치원 교원은 5-7년 미만 경력에 학력은 상관없다고 인식하였으나 장학사는 7년 이상의 경력과 석사학위 이상이 적합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직위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원과 장학사 모두 경력교사가 적합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멘토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원과 장학사 모두 ‘유아교육 전문지식과 실천능력’, ‘긍정적인 태도’를 가장 중요한 역량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멘토교육에 있어서 유치원 교원과 장학사 모두 멘토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를 높게 인식하였으나 교육목표, 내용, 운영방법에 대한 요구에서는 부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educators' and supervisors' perception and needs on mentor's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education. In doing so, it provides qualification requirements to choose the qualified mentors and basic materials for mentor's education to enhance mentor's specialty. Subjects were 136 supervisors who are in charge of childhood education of all Boards of Education and 328 kindergarten educators in Pusan, Gyeongsangnam-do reg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mentor's qualification requirements showed that kindergarten educators for young children recognized suitably under 5-7 years and supervisors over 7 years of careers experiences. In regard to mentor's academic ability, kindergarten educators recognized ‘don't relation’, supervisors suitably over master's degree. About the position, kindergarten educators and supervisors recognized suitably ‘experienced teachers’. Also, the kindergarten educators and supervisor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of ‘knowledge and skill’ area was ‘professional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actice ability’ and that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of ‘attitude and values’ area was ‘positive attitude’ in regard to mentor's qualification requirements. Second, the kindergarten educators and supervisors recognized highly the need of mentor's education and participation willingness, but had partial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and the need for management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