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24명의 예비유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 방식, 자아탄력성,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행복감 수준이 높은 예비유아교사는 낮은 집단보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중 문제 중심, 사회적 지지 추구, 소망적 사고 대처 방식을 더 많이 활용하였으며, 자아탄력성 또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있어서는 정서 중심 대처 방식을 제외한 문제 중심, 사회적 지지 추구, 소망적 사고 대처 방식이 행복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문제 중심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방식이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총점을 비롯한 모든 하위 요인이 행복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낙관적 태도, 대인관계 효율성, 분노 조절이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 and ego-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happiness. Two hundred and twenty fou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responses to sca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high happiness group had higher scores on th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style and wishful thinking coping style of stress coping style and ego-resilience th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medium and low happiness group. Second, the stress coping style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appiness in general except for the emotional-focused coping style. As well, in the regression analysis, happines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and the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style. Third, ego-resilience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appiness. As well, in the regression analysis, happiness was positively affected by optimistic attitudes, efficiency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nger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