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응분석을 통해 유아-부모 애착과 유아의 인기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만 5-6세 유아 116명(남아 64명, 여야 52명)을 대상으로 Bretherton & Cassidy (1990)의 애착이야기완성과제(ASCT), Coie & Dodge (1988)의 사회측정적 인기도 그리고 LaFontana & Cillessen(1999)의 지각된 인기도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2분석과 대응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유아-모 애착유형과 유아-부 애착유형에 따라 유아의 사회측정적 인기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유아-부모 애착이 유아의 사회측정적 인기도에 영향을 미쳤다. 2) 유아-모 애착유형과 유아-부 애착유형에 따라 유아의 지각된 인기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대응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모와 유아-부 안정애착 집단은 인기아 또는 양면아의 특성을 보였다. 유아-모 애착이 불안정-회피애착인 집단과 유아-부 애착이 불안정-비조직 애착인 집단은 거부아의 특성을 보였으며, 유아-모 애착이 불안정-비조직애착인 집단과 유아-부 애착이 불안정-회피애착인 집단은 무시아의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부모 애착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측정적 인기도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child-parent attachment and child's popularity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CA). The subjects consisted of 116 5-6 year old kindergarteners (64 boys & 52 girls) and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by Bretherton & Cassidy (1990), the sociometric popularity by Coie & Dodge(1988) and the perceived popularity by LaFontana & Cillessen(1999).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Chi-square Correspondence Analysis. The results included that 1) There were differences in child-mother attachment and child-father attachment when it came to the sociometric popularity. 2)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in child-mother attachment and child-father attachment when it came to the perceived popularity. 3) Through CA each child-mother attachment and child-father attachment are distinguished as either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parent attachment and child's sociometric popularity is clearly confirmed. Namely the advantage of CA is highlighted as the concrete relationship between child-parent attachment and child's sociometric popularity is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