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자질을 함양하기 위하여 멘토링 장학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영아보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고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멘토링 장학모형 개발을 위한 유의점에 대해 살펴본 뒤 멘토링 장학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멘토링 장학 모형은 영․유아교육 관련학과 교수, 현장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를 설문지와 개별면담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영아보육 멘토링 장학모형은 들어가기-만나기-알아가기-실현하기(방향정하기-성장하기-더불어하기-채워주기-스스로하기)-관계이어가기와 같은 단계에 따라 구성되며, 멘토링 장학 내용은 지식․능력관련 전문성, 생활관련 전문성, 신념관련 전문성, 관계관련 전문성의 4가지 영역에 따라 총 12개의 하위내용, 16개의 멘토링 장학 내용으로 구성된다. 멘토링 장학 모형의 실시회기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아젠다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개별적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실현하기단계는 역동적 구조를 가지며 최소 8회기에서 최대 13회기로 이루어지며 실시간격은 주1회, 월1회 등 어린이집의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실시시간은 하루일과 중 낮잠시간이나 일과를 마친 뒤 이루어지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단계별로 90분-120분 내외로 구성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better Mentoring Supervision Model which will enable them to improve their own qualification, capability, and professionalism. First a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a survey of infant-toddler’s teacher and experts. According to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argued that the concepts of mentoring supervision were: ‘collaborating with peer’, ‘co-growth with filling up’, ‘transmitting practical knowledge’, ‘emotional supporting’, and ‘awaken from negative supervision recognition’. A draft proposal on the Mentoring Supervision Model was supplemented through experts' careful adjustments and advice. In conclusion, the Mentoring Supervision Model consisted of 5 stages: joining, meeting, learning, realizing (selecting direction, co-growing, working together, filling up, doing oneself) and maintaining the relation. The program session (minimum 8 sessions to maximum 13 sessions), suitable interval period(once a week or month), required time (2-3 days or 90-120 minutes per each stages) and the beginning session(before new school terms) could be provided as guidelines. The management of this program could be dynamically decided by a mentor and a ment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