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및 거친 신체놀이가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대인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H어린이집 4, 5세 유아 73명이었다.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바깥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상황을 캠코더로 기록하고 분석하였으며, 대인문제해결력은 유아와 개별적인 면담을 통해 기록되고 유아들이 반응한 것은 분석범주에 의해 점수화 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안적 해결사고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해결방안과 결과예측 사고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거친 신체놀이의 잡기는 긍정적 해결방안의 예측변인이었으며, 부정적 해결방안은 팔 휘두르기, 넘어지기는 정적영향력이 있는 반면 도망가기는 부적영향력이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과예측 사고의 예측변인은 거친 신체놀이 중 팔 휘두르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거친 신체놀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o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73 boys and girls who were 4, 5 years old in Chungchu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and alternative solutions thought negatively and consequential thought. Second, the alternative solutions thought positively was affected by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what the “pretending to catch”. The alternative solutions of thought negatively was affected by the “pretending to collapse”, “pretending to running”, “pretending to swing an arm. The consequential thought was affected by the pretending to brandish a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