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반 유아들의 인터넷 신조어 ‘헐’과 ‘대박’의 사용을 관찰하여 유아의 통신언어 사용이 어떠한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질적 분석 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는 B유치원 만 5세 푸른반 유아 26명을 선정하였으며, 2015년 3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5개월간 참여관찰 및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반의 유아들의 인터넷 신조어 사용 실태는 ‘헐’과 ‘대박’의 인터넷 신조어를 성인과 같이 다양한 의미로써 사용하고 있었으며 문어가 아닌 구어로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만 5세 유아의 인터넷 신조어 사용의 사회언어학적 의미는 자연스러운 일상 언어로서 ‘헐’과 ‘대박’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헐’과 ‘대박’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신언어의 사용이 성인과 청소년뿐만이 아니라 유아에게 있어서도 그 사용의 범위가 넓어졌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만 5세 유아의 통신언어 사용에 있어서의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살펴본 결과는 유아의 통신언어 사용에 대한 교육적 방향을 정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통신언어의 연구와 논의가 더 넓은 의미에서 구어적인 부분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socio-linguistic meanings of two internet neologisms 'Hul' and 'Daebak' of 5–years-old children by observation. Twenty six children from Purun Class, B Kindergart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from March to July,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5 year old children used the two internet neologisms 'Hul' and 'Daebak' in various ways like adults as oral languages. Regarding the socio-linguistic meanings, the children used these two words as natural daily languages but they were also confused with the meanings and values of the two words. The results reported that the use of internet neologisms were extended to children as well as adults and youth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in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children's internet language use. The oral languages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tudy and discussion about communication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