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을 위한 능력과 성에 따라 쌍 협력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과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 유아 64명(남아 38명, 여아 26명)이었다. 사회성과 인지능력에 따른 이질집단 구성을 위해 유아들의 사회성과 인지능력을 또래 상호작용 행동검사와 기하능력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검사결과를 토대로 상수준 유아와 하수준 유아 각 1명씩 짝을 지어 동성으로 쌍을 구성하였고, 과제수행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언어 표현력과 언어 창의성 검사를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쌍 협력활동으로는 레고블록만들기와 종이접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지능력에 근거한 이질집단에 비해 사회성에 근거한 이질집단에서 쌍 협력활동을 한 유아들의 언어 표현력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언어 창의성에는 능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에 따라서는 언어 창의성의 세 하위 요인 중 언어 유창성과 언어 독창성에서 남아들이 여아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언어 표현력에서는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쌍 협력활동 시 집단구성방법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인지적 능력 및 성 외에 사회적 기술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yad collaboration on preschool children's language expressive ability and verbal creativity. It looks at how these differ in terms of two kinds of different group composition methods and gender. Participants consisted of 64 five-year-old children (32 dyads) from a preschool in Busan.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heterogeneous dyad groups (16 dyads each). One group's dyads consisted of a child having low-level peer interaction behavior (that is, their social skills) and a child having a high level. The second heterogeneous group consisted of dyads composed of a child having a low geometric ability and of a child having a high geometric ability (that is, cognitive ability). Before and after dyad collaboration of Lego-block building and paper folding, we measured, individually, the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and verbal creativity. We found that children paired by social skill had significantly higher gains in expressive language ability than children paired by cognitive ability.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verbal creativity between the two heterogeneous groups. It was also found that boy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than girls in verbal fluency and verbal originality. In expressive language ability,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ocial skill as well as cognitive ability and gender is considered a significant variable for an effective group composition method affecting dyad collaboration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