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 내러티브 능력에 대한 다면적 접근의 일환으로 내러티브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메타인지, 마음이해능력, 창의성 간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 2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과 AMOS 4.0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내러티브 능력과 메타인지, 마음이해능력, 그리고 창의성 각각의 하위요인들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상호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내러티브 능력은 메타인지, 마음이해능력, 그리고 창의성이 모두 중요한 예측변수 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시사함과 더불어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밝힘으로 내러티브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determine the effect of narrative ability and children’s meta-cognition, theory of mind, and creativ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8, 4 to 5 years old children in 13 preschools from Kyungbuk provide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7 and Amos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narrative ability and other variables, children’s meta-cognition and its sub factors, theory of mind, and creativity and its sub factors. Second, children’s meta-cognition, theory of mind, and creativity. were the important predictors for the young children’s narr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