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 유아의 유치원 생활을 문화기술지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발달지체 유아의 유치원 생활에 관계하는 부모, 담임교사와의 심층 면담과 유치원, 지원센터, 체육대회에서의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radley(1980)의 문화기술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질적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의 범주화를 통해 유치원 생활의 상황으로부터의 변화에서 첫 번째 주제를 그리고 상황과 변화의 사이에서 보여지는 노력으로부터 두 번째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준비되기 위한 함께하기’는 발달지체 유아와 유치원 생활에 관계하고 있는 각 개인들의 변화를 나타낸다. 발달지체 유아는 ‘완만하고 조심스러운 내면적 성장’을, 가정에서 부모는 ‘다름을 인정하며 서로를 이해하기’를, 유치원의 담임교사는 ‘다양한 기준으로 바라보기’, 또래는 ‘조건 없이 수용하기’라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두 번째 주제인 ‘만남을 위한 안팎의 노력들’에서는 관계하기, 표현하기, 홀로서기를 통한 발달지체 유아의 노력과 귀를 기울이고 방법을 찾아가는 부모의 노력 그리고 유치원에서 구성원 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의도적·비의도적으로 개입하는 담임교사와 또래의 노력을 나타냈다. 끝으로 두 가지 주제를 통해 ‘기다림으로 준비되기’라는 이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고, 교육의 의미, 장애위험 발달지체 유아, 통합교육의 방향,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ircumstances, changes, and the efforts that make changes in the kindergarten life of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DD) and to derive primary keywords from the ethnographic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and teachers of young child with DD and observations of something related with kindergarten. The keyword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eyword is ‘get together to be ready'. Second keyword is ‘inward and outward efforts for meeting’. Consequentially, the result from this study implicated that the kindergarten life including the child with DD was the process to change, and changes in kindergarten life happened when the outward and inward efforts met intentionally or incidently at the same time. I could get to know that the changes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had needed enough time for waiting. So the study's primary keyword is decided as 'waiting to be ready'. Finally,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and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for studies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