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의 방송산업은 아날로그 형태에서 디지털 형태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그 영역도 공공분야에서 민간분야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등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방송산업의 타 산업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상대적 복잡성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았던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방송산업의 공급지장효과 및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은 모두 방송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방송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산업의 1원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7059원 만큼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0.3970원 만큼 유발한다. 또한 방송산업의 10억 원 생산은 타 산업에서 7.919명의 취업을 유발한다. 한편 방송산업에서 1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1.3083원의 생산차질이 발생하여 공급지장효과가 제법 큰 편이다. 마지막으로 방송산업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2926%로 분석되었다.


As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Korea has been changed from analog system into digital system and its core has moved from public area to private area, its market size is now expanding.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broadcasting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rarely used because of their complications involved in computation.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broadcasting industry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Some interesting findings emerge from the study. First, the production of 1.0 wo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duces the production of 0.7059 won and the value-added of 0.3970 won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production of 1.0 billion wo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causes the employment of 7.919 persons in other industries. Third, the supply shortage of 1.0 wo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disables other industries to produce 1.3083 won. Finally, an increase of 10% in price level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2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