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데이터 저널리즘에 한 취재기자의 인식을 설문조사와 근거이론방법이라는 복합적 기법으로 분석했다. 설문응답자의 78.2%는 ‘데이터 저널리즘’ 용어에 친숙하며 86.1%는 제작 언론사를 파악하고 있어, 이 언론행위에 한 기자들의 인지도는 높게 나 타났다. 근거이론방법으로 응답자의 답변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 저널리즘이 기존 저널 리즘과 다르다는 답변에는 ‘의미추출’, ‘융합 패러다임’, ‘데이터 저널리즘의 문제점’ 등 9 개 특성이 나타났다. 유사하다는 답변에는 ‘기존 저널리즘과 유사’와 ‘기사 발굴 및 분석 의 도구’가 나타났다. 유사한 동시에 다르다는 답변에는 ‘제작의 유사성/과학적 분석’, ‘제 작의 유사성/데이터 뉴스’, ‘제작의 유사성/데이터베이스’라는 특성이 출현했다. ‘데이터 분석’, ‘수집’, ‘시각화’가 신참 기자와 고참 기자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남자 기자들은 데이터 분석을 선호한 반면에 여기자들은 시각화를 가장 많이 활용했다. 이 밖 에 데이터 저널리즘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기자들이 응답자의 절반에 달했다.


This study examines how reporters perceive data journalism by combining a survey and grounded theory method. As a result of a survey, 78.2% of the reporters hear about the term, and 86.1% know the name of news media producing data journalism-related content, indicating a high level of the perceived familiarity with data journalism. A grounded theory method finds that for reporters who consider data journalism to be different from traditional journalism, their responses reveal nine categories, including “sense-making”, “convergence paradigm”, and “problem of data journalism.” For those who consider the two types of journalism similarly, their responses reveal the category of “similarity with traditional journalism” and “a tool for news gathering and analysis.” For the reporters who perceive the two types of journalism to be similar and different, their responses reveal the categories of “similarity in news-making and scientific analysis”, “similarity in news-making and data news”, and “similarity in news-making and database.” The reporters mostly use “data analysis”, “data collection”, and “data visualization.” The male reporters prefer data analysis, while the female reporters prefer data visualization. The half of the reporters have not received any training with regard to data jour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