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1987년 민주화 이후 성장해온 한국진보정당의 조직 및 이념적 지향과 대중적 지지기반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통합진보당, 진보정의당, 노동당 등을 사례로 진보정당의 당원 및 재정규모, 득표율과 의석수 등의 추이와 이들의 사회주의 지향성, 노동중심성, 그리고 북한체제에 대한 입장을 비교분석하고, 북한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이 진보정당에 대한 투표결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진보정당은 단기간 내에 당원수와 득표율 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념적으로 탈사회주의적·탈계급적 성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치 지향성을 나타냈다. 아울러, 친북세력과 북한체제에 대한 정치적 관용의 수준은 보수적 시민들만이 아니라 진보적 시민들의 경우에도 매우 낮았으며, 북한정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진보정당에 대한 투표결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한국의 진보정당들이 후발주자의 한계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극복하였지만, 북한체제에 대하여 우호적이지 않은 다수의 진보적 유권자들로부터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과거와 달리 단순히 북한체제를 옹호하기보다는 비판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organizational and ideological features of progressive parties and their electoral base in Korea. Analyzing party constitutions and platforms of the Unified Progressive Party, the Progressive Justice Party, and the Labor Party. it shows that those progressive parties attempt to shift from the traditional labor union based socialist party. More importantly, this study shows that most progressive Koreans do not lik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at those who have little tolerance for the pro-North Korean activists are less likely to cast their votes for progressive par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claims that taking more critical approach toward North Korean government might help progressive parties to gain more electoral support from progressive vo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