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1인 미디어의 문화적 특성을 탐구함으로써 1인 미디어와 이용자 간의 관계, 그리고 새로운 미디어 이용문화를 진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 빌렘 플루서(Vílém Flusser)의 코무니콜로기론(Kommunikologie)에 기초한 미디어와 이용자 위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플루서는 커뮤니케이션을 인간의 고독과 세계로부터의 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행위로서 규정한다. 플루서의 사유가 중요한 이유는 그의 커뮤니케이션 사상이 1인 미디어로서의 블로그와 이용자의 기술적 상상에 대한 적합한 문제틀(Problematic)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1인 미디어 중에서도 특히 블로그에 초점을 맞춰 대학생 이용자의 인식사례를 FGI를 이용한 질적분석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1인 미디어로서 블로그를 선정한 이유는 미니홈피보다 더 공적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특성을 잘 보여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세 가지 연구문제, 즉 미디어에 대한 이용경험과 인식, 문화적 특성, 그리고 대안적 이용 방안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1인 미디어의 참여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과도한 백화점식 지식의 전시나 상업적 악용의 사례 등 부정적 경험들을 겪은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1인 미디어로서 블로그의 문화적 특징은 전문성, 정서적 동질감을 전제로 한 토론장, 배타적 소통과 블로거의 검열, 블로그 키치 등을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인 미디어로서 블로그의 대안적 이용방안은 블로그들의 차이와 공존이 강조되었고, 조기 미디어교육의 필요성도 설파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인터넷 주 이용자층인 대학생들의 1인 미디어로서의 블로그 이용경험과 인식들을 수집, 분석하여 1인 미디어의 문화적 함의와 문제점들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 one-person media and its user and a new media culture by studying the cultural character of a one-person media. To do this, I will use Vílém Flusser's Kommunikologi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discuss media and user's status. Flusser defines communication as an act to overcome human loneliness and isolation from the world. The reason why his thought is important is that his communicative thought provides a proper problematic of blog as a one-person media and user's technical imagination. Based on a theoretical discussion, I will apply university students' perceptive exampl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blog among a one-person media for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by using FGI. I chose the blog as a one-person media because it is regarded as showing cultural character better than mini homepages as a public space. The analytic result of three research categories; that is, us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media, cultural character, and alternative use plan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is the participation possibility of a one-person media, actually negative experiences like the display of excessive and miscellaneous knowledge and commercial misuse cases, etc. were analyzed. Second, blog's cultural character as a one-person media was emphasized through specificity, discussion space based on emotional sameness, exclusive communication and bloger's censorship, and blog kitsch, etc. Last, the blog's alternative use method as a one-person media was emphasized with the difference and co-existence of the blogers, and the necessity of early media education was argue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lies in collecting and analyzing blog use experiences and conception as a one-person media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the inter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