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한국 언론학에서 ‘여성에 관한 지식’이 어떤 것들이며 여성주의적 관점이 어떻게 편재되어 있는가, 그리고 이것이 주는 함의가 무엇인가에 대한 하나의 메타분석이다. 이로부터 언론학 연구자들의 전공영역과 학문적 관심이 여성주의/젠더에 대한 관심과 ‘타협’할 수 있는 지점,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연구에 여성주의/젠더 시각이 개입할 수 있는 영역들을 찾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또한, 여성주의/젠더 연구가 여성학자들끼리 전유하는 소수의 관심사가 아니라 언론학의 지식 생산과 인식론에 기여하는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언론학에서 여성주의/젠더 연구의 위치는 매우 취약하고 빈곤하다고 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연구의 경향성에서 발견된 정형화와 반복 재생산의 문제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 그리고 2세대 여성주의에서 포스트페미니즘까지 폭넓은 인식론적 관점을 수용해가면서도 결론적으로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비판을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시켰다. 한국 언론학에서 주류적인 실증주의적이며 경험주의적인 연구들이 타 영역에서 만들어낸 성과에 비하면 여성에 관한 그 지식은 여성을 첨가하는 단계에서 더 나아가지 못한 한계를 보였지만 여성주의적 관점을 수용한 실증적 연구가 분석내용과 방법론을 심화시킬 가능성은 감지되고 있다. 문화연구에서도 텍스트 중심의 미디어 재현의 정치학을 넘어서 여성 주체적 지식생산을 위한 여성주의적 글쓰기와 여성주의 역사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미디어 연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연구의 여성주의 이론에 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천착으로부터 언론학의 학문적 지평은 더욱 넓어지고 풍부해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what forms of feminist knowledge have been produced and circulated by communication and media scholars in Korea. It explores the methodologies and epistemological bases on which feminist/gender studies in communication and media research areas have been conducted. Overall feminist/gender studies have adopted diverse perspectives, ranging from second wave feminism to post-feminism, but they have often remained the critique of patriarchal ideology. In particular, the positivist and empiricist approaches as a dominant paradigm in these areas have not advanced much from the stage of just adding women to the analysis. But the possibility is somewhat detected of the approaches contributing for enhancing analytic capabilities in feminist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On the other hand, cultural studies has extended its research spectrum. It not only focuses on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but also draws attention to the ways women enter the knowledge production process through such a way of feminist writing and embraces the approaches of feminist historians. It is expected that the attempts of cultural studies scholars to incorporate feminist theories into its research tradition will broaden academic horizon of communication and media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