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아시아권의 성공에 머무르던 케이팝(K-pop)이 2011년을 기점으로 유럽 각국에서활약상을 전해오자, 이제 자본의 기획력과 문화의 결속은 해외 속 국가 위상을 일신 하기 위한 필수 전략으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더구나 이 같은 기세는 10대들 사이의 또래문화였던 아이돌 음악을 범국민 문화로 격상시키면서, 그들이 전체 대중문화 판도의 패권을 굳히는 데 일조하고 있다. 분명 현 상황은 후기 산업시대 세계 문화상품의 각축장에서 국가 생존 전략에 부응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상업적 기획의 문화가 압도적 힘을 발휘할 때, 오히려 전체 주류 문화에 경직성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가정이 연구의 동기가 되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D. 닷슨의 에세이를 기반으로 매스컬처와 파퓰러컬처의 차이를 검토, 그가 제시한 몇 가지 가설을 정교화하여 전체 문화 영역을 4분하는 다이어그램을 작성하고, 여러 유형들을 각 구간에 배치할 것이다. 그 영역들은 ‘수용자에 대한 예술가의 태도’와 ‘현실 상황에 대한 작품의 성향’을 나타내는 양대 축을 교차시킴으로써 구획할 수 있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1진영과 3진영 사이에서 펼쳐진 대립과 견제, 타협의 관계를 위주로 조명하고, 양측의 이 같은 관계가 현대 대중문화뿐 아니라 문화 역사상 오랜 기간 성립해왔던 도전과 응전의 양상임을 밝혀, 이로써 문화의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는 조건을 이들 진영의 상호작용을 통해 모색하고자 한다. 전체적으로 3진영의 꾸준한 우세 속에 1진영의 지속적 도전과 이들이 주류로 편입되는 경로를 표면화하고, 그 경로가 전체 대중문화 판도에 유연성을 충족시키는 과정임을 기술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the differences between mass culture and popular culture based on the essay of D. Dodson, and elaborating several hypotheses that he proposed so as to create a diagram that distinguishes the whole cultural areas into four sub-areas, in which various cultural types are located. These areas can be further categorized by intersecting the two main axes-‘artists’ attitude toward recipients’ and ‘the tendency of artwork toward reality’. Among these areas, the study aims at illuminating the conflicting, mutually controlling and cooperating relation between Area 1 (1/4) and Area 3 (3/4), explaining that such relations between the two areas are the conditions of challenge and response that had long been established not only in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but also throughout history, and therefore, examining conditions in which cultural diversity can be acquired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these areas. Overall, the study will bring to the surface the persistent challenge of Area 1 under the continuous predominance of Area 3 and the process in which Area 1 is incorporated into main stream, and explain that this is the process in which the whole popular culture implements flex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