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여성의 방송 진출이 늘어난 2015년 시점에도 텔레비전 뉴스에서 여성의 과소재현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또 과소재현의 정도는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았다. 아울러 1990년대 이후 진행된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 텔레비전 뉴스에서 여성의 재현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지상파방송 3사와 종합편성채널 4사의 저녁종합뉴스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앵커는 남성앵커보다 뉴스를 적게 전달하여 화면에 등장하는 빈도가 낮았으며, 기자 10명 중 여성기자는 3명밖에 안됐고, 여성 인터뷰 참여자는 인터뷰 참여자 10명 중 2.6명에 불과하여, 텔레비전 뉴스에서 여성을 ‘양적으로 과소 재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 텔레비전 뉴스는 여성을 ‘질적으로도 과소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앵커가 남성앵커보다 보도서열이 낮은, 덜 중요한 뉴스를 담당하고 있으며 남성기자와 달리 여성기자들 중 정치분야를 담당한 여성기자의 비중이 적었고, 남성 인터뷰 참여자는 일반 시민과 전문가의 등장 비율이 비슷한 반면, 여성 인터뷰 참여자는 일반 시민이 전문가의 두 배가량 되어 과반수이상을 차지했다. 이러한 여성의 과소재현 현상은 기존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1990년대 후반 이후 18년 이상 변함없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conducts a content analysis on television evening news of seven different channels in order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n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or not, and if so, how serious it is. The results shows that TV news under-represented women in terms of quantity. Women anchors tended to introduce limited number of news stories compared to the amount of news stories men anchors delivered, which eventually made women anchors appear to viewers for a shorter period of time than men anchors did. It is also found that only three out of ten reporters and two point six out of ten interviewees were women.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women were under-represented in terms of quality, too. Women anchors casted news of less-priority compared to those spoken by men anchors; few women reporters covered political issues. As for male interviewees, ordinary citizens and experts appeared in almost the same numbers. However, more than half of female participants in the interviews turned out to be common citizens, and the number of them was twice more than the number of professionals. Compared to the previous studies, this result reveals that TV news from the late 90s have continued to under-represent women for more than eighteen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