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발달과 함께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팬덤 문화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구별의 양상을 팬 생산자를 중심으로 규명, 그 자세한 동학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팬덤 연구가 팬덤을 하나의 공동체로 보고 팬덤이 하위 문화로서 다른 사회 집단과 어떤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는 팬 생산자 상호간의 구별과 견제, 연대를 통하여 노출되는 팬덤 내부의 동학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지식산업이 팬덤 내부 동학의 주요한 변인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공동체 중심의 팬 활동을 대체하기 시작한 SNS는 팬 생산자들이 개인화를 통해 팔로워를 모으고 권력화를 이루는 주요 변인이 되고 있다. 더 나아가 이런 개인화는 전통적인 팬 공동체의 기반이었던 선물경제(gift economy)에서 벗어나 생산물을 상품화함으로써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지식산업의 경제자본화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팬 생산자 심층 인터뷰, 트위터 텍스트 분석, 자기진술 등의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This article is to articulate discrimination inside of fandom. Fandom, with its suffix, -dom, has been treated in a collective term. Fiske, based on Bourdieu’sconcept of distinction, argues for discrimination to distinguish among fans based on each one’s knowledge and that is what this study finds among fandom activities in Korea. Traditionally community- and Internet discussion board-oriented, the Korean fandom changes its direction toward individualization. A few factors have contributed to the change: the maturing fandom culture with about 30 years of its history;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economy, especially social network services; and developing fandom commodity production. The change brings about more sophisticated discrimination among fans based on age, star, loyalty, etc. This article puts production knowledge at the center of its focus and identifies it as a key element deciding one’s status. The status, however, is ephemeral and needs to reconfirmed through various efforts of a producer, such as improving production quality and networking. This individualized free labor takes a form of what Terrranova articulates as a network cultrue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As a result, fandom labor, traditionally considered free, comes to have tumultuous relationships with its economic base, to get recognized as valuable, but to maintain its community spirit. This study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fan artifice producers, their twitter analysis and the fandom experience of one of the auth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