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0년대 중반 이후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변혁적 리더십 연구의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변혁적 리더십 연구가리더십 연구와 경영현장에서 많은 이론적․실무적 기여점을 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타의리더십 연구처럼 반복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에 수행된변혁적 리더십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그간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과제로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14년까지 15년간 국내 경영학 분야 주요학술지에 게재된 변혁적 리더십 관련 연구논문 60편에 대한 연구동향을분석하였다. 개념적 분석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심리적 성과와 혁신성과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것을 확인하였다. 방법론적 분석에서는 모든 연구가 설문지에 의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설문지는 대부분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의 측정도구는 1개부터 6가지까지 요인이 다양하게 추출되었다. 그동안의 변혁적 리더십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이론의 확장과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반면에, 자기보고식 설문응답으로 인한 동일방법편의 가능성 등 여타 리더십의 실증적 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한 한계점이 계속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념적으로는 변수의 확장, 이론적배경의 확장과 정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의 수행도 요구된다. 방법론적으로는 자기보고식 설문응답의 방법론적 편협함을 해소를 위하여 시나리오법 등의 연구 방법론의 적용과 맥락연구의 연구제언을 반영한 확장된 연구수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 변혁적 리더십연구에 대한 체계적 정리로 관련 연구자들에 연구동향을 총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의의가 있지만, 국내 경영학분야 학술지 게재 논문만을 대상으로 분석되어 일반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정량적 분석을 하지 않고 정성적 분석에 그친 한계가 있다.


Domestic research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been actively done since the mid-1990s but the studies summarizing the research trend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been lacking. Also, despite of their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tribution, majority of studie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been conducted repeatedly without a differentiation from the studies of leadership in general. In this sen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ults and procedures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n provide suggestions to overcome the identified limitatio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sed the research stream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reviewing the 60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domestic major management journals during the past 15 years between 1999 and 2014.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ncepts (variables) investigated reveal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ed psychological achievements and innovative performances. Most of the 60 studies empirically analyzed the concepts by conducting an self-administered survey. One to six factors have been extracted and empirically tested to measu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made it possible to extend existing leadership theories an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heories. Meanwhile, due to the use of self-administered survey the similar limitations which appeared in the other empirical studies of leadership in general were found. As for conceptual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exploratory study would be recommendable to carry out to investigate extended variables and to do a literature review in a sophisticated way. In methodology, a scenario approach and context based explicit survey questions could be also adopted.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in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systemic way and in providing a comprehensive outline of the research trends. However,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would be less reliable, since this study confined to qualitative analyses on the papers published at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ly.